선거구 획정 등 선거환경에 관심 가져야
한국노총, 1차 노동존중 지역정치학교 개최
서정혜 2021-07-01 18:57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밴드 주소복사

본문

지방선거는 노동자 정치세력화의 디딤돌

 

한국노총 등 대중조직이라면 선거구 획정 등 선거환경 정비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는 주문이 나왔다. 기초의원 의원정수를 최소 9인으로 늘리고, 비례도 30%까지 확대해야 대중조직과 신인정치인의 지방의회 진출 기회가 넓어진다는 것이다.

 

1625127760_42318_SktdG9vY.jpg
 

한국노총은 7월 1일(목) 오후 한국노총회관 6층 대회의실에서 1차 노동존중 지역정치학교를 개최하고, 2022년 지방선거에서 노동조합의 대응방안을 모색했다.

 

박상훈 정치발전소 학교장(한국노총 정치자문위원장)은 ‘민주주의 및 지방정치’라는 발제에서 민주주의와 지방자치의 기원을 살펴보고, “지방자치가 반중앙의 분권화보다는 중앙 정치와 지방자치가 병행 발전할 수 있는 상호 책임의 구조를 발전시키는 길을 모색해야 한다”고 진단했다.

 

이어 김민하 정치평론가는 2022년 지방선거 전망에서 “대선결과에 따라 바로 이어지는 지방선거는 종속되는 결과를 나타냈다”며 “물갈이론 같은 가치투표와 지역발전론의 이익투표 등 복합적인 투표 성향을 보이겠지만, 대선결과로 지방선거는 줄세우기 투표가 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신장식 법무법인 민본 대표변호사는 “현장이 중앙조직의 선거방침을 따라가는 것이 아닌 나름대로 지방선거의 성격과 목표를 분명하게 세워야 떨어지더라도 다음 선거를 기약할 수 있다”면서 “대중조직이라면 선거구 획정 등의 과정에서 선거운동장을 유리하게 쓸 수 있도록 선거환경 정비에 적극적인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신 변호사는 지방선거 제도 개혁방안으로 ▲기초의원 의원 정수 최소 9인, 기초비례 30% ▲기초의원 선거구 획정 2대1, 3~5인, 4인 선거구 분할 금지 등을 제시했다.

 

앞서 허권 한국노총 상임부위원장은 인사말에서 “지방정치는 민주주의 꽃으로 노동자가 지방정치에 많이 참여해 그 꽃을 피우자”며 “지역 정치에 많은 관심을 가져 우리 삶을 바꿔내는 계기로 만들어 가자”고 말했다.

 

1625127773_88870_LLCvgAyoFgO.jpg

△ 인사말 중인 허권 한국노총 상임부위원장


1625127779_65548_5RntyI1YsEdRo2e.jpg
△ 박상훈 한국노총 정치자문위원장

1625127786_72477_rLkwBLRdwxnqKE.jpg
△ 김민하 정치평론가

1625127794_79409_PghY8xgKwJo.jpg

△ 신장식 법무법인 민본 대표변호사

 

#지방정치

 

댓글목록

한국노동교육신문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중부대로 1144,102/2103 | 제보광고문의 031-335-1289 | E-mail: jhseo0625@hanmail.net
인터넷신문 등록일 2013.07 .15 | 등록번호 경기 아50716호 | 발행인 오예자 | 편집인: 김완규 | 청소년보호책임자 오예자
Copyright© 2004~2025 한국노동교육신문 All right reserved | Designed by BLESS 031)954-8601

기사제보
----------
취재요청
----------
광고
제휴문의
----------
청소년
보호상담자
지정 및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