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노동위원회, 경기도일자리재단, 경기대진TP, 경기TP2022년 행정사무감사 실시
○ 김완규 위원장, “경기TP-경기대진TP는 상호 유기적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경기도일자리재단은 민관협업 통한 지속가능한 지역 일자리 창출 필요해”
서정혜 2022-11-07 20:03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밴드 주소복사

본문

경기도의회 경제노동위원회(위원장 김완규, 국민의힘, 고양12)2022년 행정사무감사 4일차를 맞은 7(), 경기도일자리재단을 시작으로 경기대진테크노파크(이하 경기대진TP), 경기테크노파크(이하 경기TP) 에 대한 감사를 실시했다.

 

eda4a0c98cc7752905c71d22bacc66ad_1667818993_5122.jpg
221107 경제노동위원회, 2022년 경기도일자리재단, 경기대진TP, 경기TP 행정사무감사 실시

 

경기도일자리재단 양질의 직업알선 및 직업능력개발, 다양한 직업훈련과 창업 기회의 제공을 통한 고용 증진으로 지역경제의 발전을 도모하는 기관으로, 20229월말 현재 유형별 일자리사업 55개를 통해 6,033명의 취업자 및 157명의 창업자를 탄생시킨 바 있다. 경제위 위원들은 직접일자리 사업의 효율성 개선, 경기도기술학교 교육과정 다변화, 중장년 재취업 사업 강화, 기관 이전 등에 대해 집중 질의하며 개선을 요구했다.

이어 경기대진TP와 경기TP에 대한 감사도 진행됐다.

경기대진TP는 경기북부지역 산관의 협력체계를 구축하여 지식기반 첨단업종을 중점 육성하는 기관으로, 위원들은 경기북부 스마트공장 보급·확산, 양주·포천·동두천 섬유기업 종사자 및 기업 지원, 가구산업 활성화 등에 대한 집중 점검하며, 기관의 역량을 끌어올릴 수 있는 지식재산센터 유치에 만전을 기할 것을 당부했다.

한편 경기TP 도내, 특히 경기 남부지역의 산관 유기적 협력체계 구축을 통해 지역혁신의 거점기관 역할을 수행하는 기관으로써, 위원들은 지식재산 보호 지원, 경기도형 스마트공장 구축, 기술닥터 사업 등을 집중 질의하며 뿌리산업의 스마트화 및 4차 산업혁명 지원체계 고도화 등을 요청했다.

김완규 위원장은 경기TP와 경기대진TP는 상호간 유기적인 협력체계를 통해 경기 남·북부의 기술혁신을 선도하기 바라며, 경기도일자리재단은 최근 동두천 이전 이슈와 관련하여 많은 직원들이 퇴사하는 상황에서 일자리 정책의 컨트롤 타워로써 내부부터 돌아보고 좋은 일자리를 제공할 수 있는 기관으로 거듭나달라는 당부의 말을 전했다.

 

댓글목록

한국노동교육신문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중부대로 1144,102/2103 | 제보광고문의 031-335-1289 | E-mail: jhseo0625@hanmail.net
인터넷신문 등록일 2013.07 .15 | 등록번호 경기 아50716호 | 발행인 오예자 | 편집인: 김완규 | 청소년보호책임자 오예자
Copyright© 2004~2025 한국노동교육신문 All right reserved | Designed by BLESS 031)954-8601

기사제보
----------
취재요청
----------
광고
제휴문의
----------
청소년
보호상담자
지정 및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