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주 간이 이동노동자쉼터 3일 운영 시작…경기도, 올해 8개 지역 쉼터 조성
○ 도, 이동노동자 쉴 권리 보호 위한 ‘간이 이동노동자쉼터 설치 확대’ 사업 추진중
- 이동노동자의 접근성이 좋은 곳에 ’23년 8개소 추가 조성 후 운영 시작
○ 올해 첫 번째 쉼터인 파주 간이 이동노동자쉼터 5. 3.(수)부터 운영 개시
서정혜 2023-05-01 08:00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밴드 주소복사

본문

경기도가 이동노동자들의 쉴 권리 보호를 위한 간이 이동노동자쉼터설치 확대를 추진하고 있는 가운데 3일 파주 간이 이동노동자쉼터가 문을 연다.

 

31cb49142391b12ad6f9775973d27611_1682895555_5836.jpg
현장사진(파주+간이+이동노동자쉼터)1

 

이동노동자는 배달이나 택배기사, 학습지 교사 등 플랫폼에 소속돼 일하는 노자로 이동이 잦은 업무 특성상 휴식 시간이 불규칙적이고 휴식 장소가 따로 마련돼 있지 않아 쉼터 조성이 필요하다.

 

31cb49142391b12ad6f9775973d27611_1682895596_9054.jpg
현장사진(파주+간이+이동노동자쉼터)2

 

도는 올해 용인·성남·안산·남양주·파주·이천·구리·광명 등 8개 지역에 간이 이동노동자쉼터를 추가 조성하고 있으며, 이중 파주시에 4월 말 가장 먼저 조성됐다.

 

31cb49142391b12ad6f9775973d27611_1682895629_4762.jpg
현장사진(파주+간이+이동노동자쉼터)3

 

파주 간이 이동노동자쉼터는 야당역 인근의 공영주차장 부지에 27면적의 테이너 부스형으로 설치된다. ·난방기, 와이파이, 냉온수기, 휴대전화 충전, TV, 의자 5, 탁자 2, 소파, 공기청정기, 커피자판기, 도서 등으로 구성된다. 연중 24시간 무인경비 시스템으로 운영될 예정이며, 카카오톡지갑 큐알(QR) 코드를 이용해 언제든지 출입할 수 있다.

올해 간이 이동노동자쉼터를 설치할 예정인 나머지 7개 시에서도 역 광장, 공영주차장 등 이동노동자의 접근과 주차가 쉬운 곳을 대상으로 쉼터 운영을 위한 최적의 장소를 선정하기 위해 의견수렴 절차를 진행하고 있으며, 장소 선정 이후 관계 부서 협의 등을 거쳐 쉼터 조성을 완료하고 연내 운영을 시작할 예정이다.

경기도는 전국에서 가장 많은 총 12개소의 이동노동자쉼터(거점 10·간이 2) 운영하고 있으며, 간이 이동노동자쉼터는 올해 8개소를 시작으로 2026년까지 20개소를 추가로 만들 계획이다.

조상기 경기도 노동권익과장은 이번 간이 이동노동자쉼터가 파주지역 이동노동자들의 쉴 권리 향상에 조금이나마 도움 되기를 바란다라며 경기도는 아직도 열악한 이동노동자 노동환경 개선을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댓글목록

한국노동교육신문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중부대로 1144,102/2103 | 제보광고문의 031-335-1289 | E-mail: jhseo0625@hanmail.net
인터넷신문 등록일 2013.07 .15 | 등록번호 경기 아50716호 | 발행인 오예자 | 편집인: 김완규 | 청소년보호책임자 오예자
Copyright© 2004~2025 한국노동교육신문 All right reserved | Designed by BLESS 031)954-8601

기사제보
----------
취재요청
----------
광고
제휴문의
----------
청소년
보호상담자
지정 및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