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병숙 도의원 “임산부ㆍ초등생 친환경먹거리 지원, 정부가 예산 반영해야” - 이병숙 경기도의원, 정부가 중단한 ‘임산부 친환경 농산물 지원 사업’과 ‘초등돌봄교실 과일간식 지원 사업’을 2024년 정부 예산안에 반영할 것을 요구 - 이병숙 의원의 질의를 통해 경기도 예산결산특별위원들의 공감대 형성해 道 자체 예산 확보…10월~12월 임산부 친환경농산물 지원 가능해져 - 이병숙 의원 “친환경먹거리 지원은 농민ㆍ도시ㆍ농촌 상생을 통한 지역소멸 대응과 식량안보 등 농업의 다원적 기능 높이기 위해 지속적인 추진 필요” 김완규 2023-09-22 10:46 가 본문내용 확대/축소 본문 이병숙 경기도의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의원(민주ㆍ수원12)은 21일 정부가 2년 연속 편성하지 않은 임산부ㆍ초등생 친환경먹거리 지원 사업을 국회가 예산 반영해야 한다고 말했다.정부는 2025년부터 두 지원 사업을 ‘농식품바우처사업’으로 통합 운영을 고려하고 있으나 농민단체들은 반대하고 있다. ‘농식품바우처사업’은 차상위계층을 대상으로 하는 일반농산물 지원 사업이다. 친환경 농산물을 생산하는 농민들의 원성 또한 쏟아지고 있다. 23.09.14.예결위 심의-이병숙 의원 이병숙 의원의 경기도의회 예결위 질의(15일)로 예결위 의원들의 공감대 형성을 얻어 경기도 자체 예산 약 12억 원 증액했고 지난 21일 본회의를 통과해 10월~12월분 지원 예산이 확보되었다.* ‘경기 임산부 친환경농산물 지원’ 사업비 17억 7,552만 9,000원(예결위 11억 8282만 5,000원 증액, 경기도의회 21일 본회의 의결)이병숙 의원은 “이번에 경기도 자체 예산 증액으로 올해는 넘길 수 있지만 내년부터 지속가능한 친환경먹거리 지원을 위해 2024년 정부예산 반영해야 한다”고 말했다.이병숙 의원은 지속적인 친환경먹거리 지원 사업 추진은 임산부ㆍ초등생의 먹거리 질 향상에 그치지 않고 농업의 다원적 기능을 높이는 만큼 지역소멸 대응과 도시ㆍ농촌 상생 효과를 거두기 위해 꼭 이뤄져야 한다고 덧붙였다.* ‘농업의 다원적 기능’은 농업활동을 통해 식량안보, 환경ㆍ생태보전, 농촌사회 활력 및 농촌경관 유지 등을 할 수 있음을 뜻함 김완규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목록 댓글목록 이전글 경기도의회 유영두의원, 경기도교육정책자문위원회 위원 위촉 23.09.22 다음글 이학수 도의원, ‘학부모교육 제도화를 위한 정책토론회’에서 학부모교육 참여 확대 방안 필요성 강조 23.09.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