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채영 의원, “어린이통학차량 무공해차 일괄 전환 재검토되어야”
○ 수원시사립유치원연합회 관계자들와 어린이통학차량 관련 정책 정담회 열어
김완규 2024-10-21 09:55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밴드 주소복사

본문

어린이통학차량의 무공해차 전환은 보급 지연에 따른 운행 차질 우려와, 전기차 화재에 대한 학부모의 우려, 전기차 충전인프라 부족 등을 고려해 일괄 방식이 아닌 순차적 접근이 필요합니다.”

경기도의회 경제노동위원회 이채영 의원(국민의힘, 비례)은 경기도 수원시사립유치원연합회 관계자들와 함께 위와같은 내용을 논의하는 정담회를 열었다고 21일 밝혔다.

 

6c356e6225aca192c55694b3bca79de4_1729472096_8791.jpg
241021 이채영 의원, 어린이통학차량 무공해차 전환 관련 정담회

 

현재 정부는 2035년까지 모든 어린이통학차량의 무공해차 전환을 선언하고, 24년부터 신규 어린이통학차량 구매시 버스용 경유차 구매를 금지토록 했다.

이와관련 정담회에 참석한 성혜경 수원 권선구 예랑유치원장은 승합차의 경우 경유차에 비해 전기차는 2.5배 이상 비싸 아무리 보조금이 나온다 하더라도 아이들을 위한 운영비가 차량구입비로 쓰여 교육의 질을 떨어뜨리는 원인이 될 수 있다차량 출고 시기도 대기가 길어, 무더기 교체가 예상되는 2025년에는 정상 운행을 보장하기도 힘들다고 우려했다.

, 성 원장은 전기차 충전을 위한 충전인프라도 부족할 뿐 아니라 전기차에 대한 학부모의 화재 우려도 있어 어려움이 크다고 토로했다.

수원시사립유치원 정책이사로 활동중인 이진숙 수원 영통구 예은숲유치원장은 학부모가 등하원시 안심할 수 있는 전기차가 나올 때까지 무공해차 전환 정책을 적어도 3~5년은 유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대해 이채영 의원은 대기 환경도 중요하지만 당장 안전이 걱정되는 전기차로 무조건 바꾸는 건 빈대잡으려다 초가삼간 태우는 격이 될 수 있다라며 경유차량도 미세먼지 저감장치가 잘 설치되어 일정 기준을 통과하면 사용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채영 의원은 앞으로 유보통합, 출산율 저하 등으로 수많은 어려움에 직면한 유치원이 좀 더 어린이들을 돌보고 교육시킬 수 있는 환경이 되도록 경기도의원으로서 열심히 돕겠다고 강조했다.

 

댓글목록

한국노동교육신문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중부대로 1144,102/2103 | 제보광고문의 031-335-1289 | E-mail: jhseo0625@hanmail.net
인터넷신문 등록일 2013.07 .15 | 등록번호 경기 아50716호 | 발행인 오예자 | 편집인: 김완규 | 청소년보호책임자 오예자
Copyright© 2004~2025 한국노동교육신문 All right reserved | Designed by BLESS 031)954-8601

기사제보
----------
취재요청
----------
광고
제휴문의
----------
청소년
보호상담자
지정 및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