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만 대도시 용인(龍仁)’변화와 대응 정책세미나 개최 용인시, 제도변화 등 전문가·시민 의견 수렴 서정혜 2015-02-05 00:00 가 본문내용 확대/축소 본문 - 정찬민 시장, “정책대안 제시, 자치역량 강화·삶의 질 도약” 당부 용인시는 2017년 이후 인구 100만을 내다보고 있는 가운데, 100만 대도시 관련 제도변화와 함께 용인시 변화될 모습에 대해 각계각층의 전문가와 시민들의 의견을 수렴하는 장을 마련했다. 용인시(정찬민 시장), 강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김주환 소장), 공공문제연구소․용인발전연구센터(김명환 소장 겸 센터장) 공동주최로 “‘100만 대도시 용인(龍仁)’ 변화와 대응”이라는 주제 하에 4일 시청 시민예식장에서 정책세미나를 개최했다. 정찬민 용인시장은 “인구 100만을 바라보고 있는 시점에서, 우리시 가 진취적이고 발전적인 대안을 제시하는 데 매우 시의적절한 정책세미나라고 생각한다”며 “오늘 세미나에서 심도 있는 토론을 통해 좋은 정책대안이 제시되어 우리시의 자치역량 강화와 시민 삶의 질이 한 단계 더 높이 도약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강조했다. 이어 신현수 용인시의회 의장은 “인구 100만을 바라보는 중차대한 시점에 100만 용인시 비전과 청사진을 마련하기 위한 준비는 좀 늦은 감은 있지만 참으로 다행이라 생각 한다”며 “패널 여러분의 용인을 향한 사랑과 열정으로 심도 있는 토론을 통해 도시의 멋진 청사진이 그려지길 희망한다”고 말했다. 이번 정책세미나는 2개 세션으로 구분, 발표와 토론 형식으로 펼쳐졌다. 제1세션에서는 100만 대도시 관련 제도변화와 특례사무를 중심으로 한 ‘인구 100만 이상 대도시의 자치분권모델’이라는 주제로 진행되었으며, 제2세션에서는 100만 대도시를 내다보고 있는 용인시의 현황진단과 도시 미래상을 중심으로 한 ‘100만 대도시 용인 비전과 로드맵’을 주제로 이어졌다. ▲(제1세션) 인구 100만 이상 대도시의 자치분권모델 제1세션에서 주제 발표에 나선 중앙공무원교육원 허명환 교수는 “5개시(수원, 창원, 고양, 성남, 용인)에서 연구용역을 수행한 직통시 모델보다 현재 지방자치발전위원회에서 논의되고 있는 특정시 모델이 권한이양과 재정분권 차원에서 다소 미흡하다”며 “용인시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사무특례와 재정권한에 대해 요구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제2세션) 100만 대도시 용인의 비전과 로드맵 제2세션에서 주제 발표한 용인발전연구센터 정지훈 책임연구원은 용인시 4개 미래상을 중심으로 센터 내에서 발굴한 총 12가지 핵심과제에 대해서 설명했다. ‘100만 대도시 용인(龍仁) 변화와 대응’ 정책세미나 자료집은 5일(목) 이후 용인발전연구센터 홈페이지(www.ydi21.re.kr)에서 시민 누구나 내려 받아서 확인해 볼 수 있다. 서정혜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목록 댓글목록 이전글 백군기 의원, 육군 55사단에서 지역경제인들과 민•관•군 간담회 열어 15.02.05 다음글 1시간 빠른 상갈 민원실 운영 15.0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