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여파? 의료급여환자 의료이용량 급감
20.4~6월, 전년 동월 대비 각각 △8.3%, △16.1%, △9.6% 감소<진료건수 기준>

 진료인원 기준으로는 각각 △4.8%, △7.5%, △4% 감소

정춘숙 의원 … “코로나19 원인 가능성 높지만, 정부의 분석 및 대안 필요”
오예자 2020-10-19 10:01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밴드 주소복사

본문

    

우리 사회의 대표적인 취약계층인 의료급여환자의 의료이용량이 금년 4~63개월 동안 급감한 것으로 확인. 코로나19의 여파로 병원방문 등 대외활동이 위축된 결과인지? 정부 차원의 면밀한 분석과 대안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
 
정춘숙국회의원.jpg
 

보건복지부와 국민건강보험공단이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정춘숙의원(용인병)에게 제출한 자료를 보면, 금년 4월부터 6월까지 의료급여 환자의 이용량이 전년 동월과 비교할 때, 진료인원과 진료건수 모두 급감했던 것으로 확인.
 

구체적으로 진료건수 기준으로 금년 4월은 20194월에 비해 8.3%, 57734, 5월은 16.1%, 1177,262, 6월은 9.6%, 697,582건이 감소했음. 진료인원도 44.8%, 55,323, 57.5%, 89,252, 6월은 4%, 46,938명이 감소.
 

예년에도 진료건수와 진료인원이 전년 동월과 비교할 때, 감소하는 경향이 있었지만, 그 폭이 1.1%~0.8%(진료건수 기준)1.1%~0.3%(진료인원 기준)과 비교할 때, 무척 이례적인 현상임.(표 참조)
건강보험공단 관계자는 심층적인 분석이 필요하지만, 코로나19 여파가 큰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고 밝혔다.
 

정춘숙 의원은 우리 사회의 가장 대표적인 약자인 의료급여 환자의 의료이용량이 예년과 비교할 때, 현저히 감소한 만큼 이것이 코로나19 여파인지? 다른 원인이 있는지에 대해 정부 차원의 분석과 대안을 마련하여 취약계층이 의료사각지대로 방치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해야 한다고 강조.
 

<> 의료급여 환자의 의료이용량 분석 (단위: , , 백만 원, %)
구분
진료인원
진료건수
총진료비
전년 동월대비 증감율
진료인원
진료건수
총진료비
20191
1,187,995
7,146,479
689,249
1.02
2.45
9.67
20192
1,142,392
6,743,571
656,763
Δ1.14
Δ1.12
9.64
20193
1,119,584
6,112,852
650,804
Δ0.50
Δ0.83
8.63
20194
1,158,796
6,841,098
716,593
Δ0.28
0.23
9.77
20195
1,184,266
7,299,928
728,114
0.40
3.68
10.42
20196
1,179,778
7,254,540
719,535
0.79
5.17
8.09
20197
1,156,516
6,807,791
731,148
0.46

댓글목록

한국노동교육신문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중부대로 1144,102/2103 | 제보광고문의 031-335-1289 | E-mail: jhseo0625@hanmail.net
인터넷신문 등록일 2013.07 .15 | 등록번호 경기 아50716호 | 발행인 오예자 | 편집인: 김완규 | 청소년보호책임자 오예자
Copyright© 2004~2025 한국노동교육신문 All right reserved | Designed by BLESS 031)954-8601

기사제보
----------
취재요청
----------
광고
제휴문의
----------
청소년
보호상담자
지정 및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