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년 12월 기준,코로나19 확진자 24,015명 중 입원치료는 정신 및 행동 장애 214명외래치료는 소화계통의 질환 7,…
- 입원환자는 정신 및 행동장애, 근골격계통 및 결합조직의 질환 順
- 외래환자는 소화계통의 질환, 근골격계통 및 결합조직 질환, 호흡계통 질환 順
- 정춘숙 의원 “코로나19 확진자에 대한 후유증 연구조사 서둘러야”
김완규 2021-02-04 17:39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밴드 주소복사

본문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 퇴원후 입원의 경우 정신 및 행동 장애(F00-F99), 외래환자는 소화계통의 질환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춘숙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용인시병·재선)이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받은 코로나19 확진자 퇴원 이후 진료 현황자료에 의하면 12월 말 기준 완치자 24,015명 중 입원치료를 받은 환자수는 정신 및 행동 장애(F00-F99)214(0.89%)으로 가장 많았으며, 근골격계통 및 결합조직의 질환(M00-M99) 205(0.85%), 손상, 중독 및 외인에 의한 특정 기타 결과(S00-S99) 188(0.78%)순으로 많았다.

 

또한 외래환자의 경우 소화계통의 질환(K00-K99) 7,698(32.05%), 근골격계통 및 결합조직의 질환(M00-M99) 5,530(23.02%), 호흡계통의 질환(J00-J99) 4,818(20.06%) 순이었다.

 

이들 질환이 꼭 코로나19로 인한 후유증이라고 단정할 수는 없지만, 코로나19에 감염되었던 많은 완치자들이 다른 증상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다라는 보고가 있어서 이에 대한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얼마 전 분당서울대병원 연구팀은 코로나19 완치 후 퇴원한 환자 10명을 조사한 결과 5명은 치료 중 우울감을 겪었고, 이 중 4명은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증상이 확인됐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하기도 하였으며, 중앙방역대책본부가 완치자 40명의 후유증 임상조사 결과, 완치 3개월 후에는 탈모, 6개월 후에는 극심한 근육통에 시달리며 폐기능 저하와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에 시달리기도 한다는 언론보도도 있었다.

  74e4f81f860562bf152150615565fc27_1612427970_5957.jpg

                                                                              정춘숙국회의원

정춘숙 의원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은 기존의 감염병과 다른 양상을 보이며 완치 후에도 후유증을 호소하는 환자들이 많다하루 빨리 후유증에 대한 연구를 서둘러 코로나 완치를 넘어 그 이후의 시기를 대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한 정 의원은 정부 차원의 다양한 코로나19 후유증에 대한 전체적인 실태조사를 실시하고 치료 등 통합적인 관리체계를 마련해야 하며, “별도의 후유증 관련 등록시스템을 만드는 것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

 

 

댓글목록

한국노동교육신문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중부대로 1144,102/2103 | 제보광고문의 031-335-1289 | E-mail: jhseo0625@hanmail.net
인터넷신문 등록일 2013.07 .15 | 등록번호 경기 아50716호 | 발행인 오예자 | 편집인: 김완규 | 청소년보호책임자 오예자
Copyright© 2004~2025 한국노동교육신문 All right reserved | Designed by BLESS 031)954-8601

기사제보
----------
취재요청
----------
광고
제휴문의
----------
청소년
보호상담자
지정 및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