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김 생산액 역대 최대. 전년 대비 87.2% 증가
○ 2024년산 경기도 김 생산액 409억 원으로 역대 최대
- 전년 대비 생산량 감소에도 생산액 87% 이상 증가
- 일본의 김 양식 흉작에 따른 수출 수요 증가, 전국적인 재고물량 부족 원인
○ 경기도, 경기 해역에 맞는 병해에 강하고 해수면 온도 상승에도 양호한 김 종자 개발 시험연구사업 추진 중
서정혜 2024-05-29 07:39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밴드 주소복사

본문

경기도 올해 김 양식 생산액이 4089천만 원으로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29일 경기도가 올해 생산량을 자체 집계한 결과 2024년산 김 생산량은 2 1846, 생산액은 4089천만 원으로 파악됐다. 올해 생산량은 전년 22513톤보다 약 3% 감소했지만, 생산액은 전년 2184천만 원에서 무려 87.2%(190억 원) 증가한 것으로 경기도에서 김 양식을 시작한 이후 최대 금액이다.

 

20dde9cd933317bc417d4f5dcf57d6ab_1716935904_0754.JPG
경기도+김양식장+전경(드론촬영)

 

생산액이 크게 증가한 이유로 도는 일본의 김 양식 흉작에 따른 수출 수요가 증가한 가운데 전국적인 김 작황 부진으로 가격이 상승했기 때문으로 분석하고 있다. 실제로 올해 전국 생산액은 전년 대비 77%, 전국 1위인 전남도 생산액은 78% 증가했고, 도내 어가 평균 수입도 전년 3800만 원에서 5 7600만 원으로 87.2%(26800만 원) 상승했다.

 

20dde9cd933317bc417d4f5dcf57d6ab_1716935931_6992.JPG
김+채취+전경

 

도는 안전하고 안정적인 김 생산을 위해 매년 6억 원 이상의 사업비를 투자해 화성안산시 김 양식장을 지원하고, 유해화학물질 무단사용 행위, 불법 시설물에 대해 강력한 단속과 일제 정비를 지속적으로 하고 있다.

경기도해양수산자원연구소는 최근 바다 수온이 상승하면서 전국적으로 김 생산성이 하락하는 문제가 발생함에 따라 현재 경기 해역 환경에 맞춘 병해에 강하고 해수면 온도 상승에도 성장이 양호한 김 종자 개발 시험 연구 사업을 추진 중이다.

김봉현 경기도 해양수산과장은 올해 물김 위판가격 상승으로 어업인의 소득이 크게 늘어났지만, 수온 상승에 따른 해양환경 변화로 김 생산량이 감소하고 있어 지속적인 소득 보장을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라며 기후변화에 대응한 종자 개발 등 신규사업을 발굴해 지속가능한 김 양식 산업 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댓글목록

한국노동교육신문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중부대로 1144,102/2103 | 제보광고문의 031-335-1289 | E-mail: jhseo0625@hanmail.net
인터넷신문 등록일 2013.07 .15 | 등록번호 경기 아50716호 | 발행인 오예자 | 편집인: 김완규 | 청소년보호책임자 오예자
Copyright© 2004~2025 한국노동교육신문 All right reserved | Designed by BLESS 031)954-8601

기사제보
----------
취재요청
----------
광고
제휴문의
----------
청소년
보호상담자
지정 및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