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습침수피해 하수관거 정비 12개소 마무리 물폭탄에 끄떡 없게... 관경 1000mm로 넓혀, 7.5㎞ 구간 공사 완료 서정혜 2014-11-14 00:00 가 본문내용 확대/축소 본문 용인시가 지난 2011년 말 부터 상습침수지역 항구적 수해예방사업으로 추진하는 하수관거 정비공사를 12개소 7.5㎞구간에 완료했다고 14일 밝혔다. 최근 기상이변에 따라 집중호우가 늘고 특정지역 침수 피해가 반복되면서 피해 규모 또한 매년 늘어나고 있다. 용인시 통계연보에 따르면 시의 2011년 연 평균 강우량(2천26.1㎜)은 이전 10여년(2000~2009) 간의 연 평균 강우량(1천549.7㎜)에 비해 크게 늘어났다. 이에 따라 시는 관거의 방재성능을 높여서 정비하는 항구적 수해예방에 나서 지난 2011년 말부터 기본계획과 실시설계 용역을 실시하고 2012년에 기흥구 중동, 죽전동, 일원 등 3개소 공사를 완료했다. 이어 포곡읍 둔전리 일원과 일산리 일원 등 5개소는 2013년에 마치고, 2014년에는 유방동 325-3번지 등 4개소 공사를 마무리, 모두 12개소 7.5㎞구간의 공사를 끝낸 것이다. 시는 이에 그치지 않고 내년도 공사분으로 서천동 서천(2공구) 관거정비를 추진해 모두 13개소 7.9㎞ 구간의 침수피해구역 공사를 완료할 계획이다. 특히 이 공사는 사업구역 내 10년 빈도의 강우량으로 설계된 기존 하수관거(관경 450~600㎜규모)를 30년 빈도의 강우량으로 설계한 관경 1,000㎜규모 관거로 신설하거나 교체하는 방식으로 진행했다. 즉, 30년에 한번 발생될 수 있는 최대 강우량을 수용할 수 있는 높은 성능의 관거를 사용한 것이다. 또 하수관거 경사도를 조정하는 등 관거 선형을 개선하는 공사도 했다. 용인시는 이 공사를 시비 30억원을 포함해 2013년 환경부의 ‘도시침수대응사업’ 공모에 선정돼 받은 국비 70억원 등 100억원의 사업비로 추진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침수피해를 최소화 하고 항구적인 수해 예방에 기여할 것”이라며 “침수지역에 대한 지속적인 사전조사 및 우수관로 성능상향 조정을 통해 수해로부터 주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고 보다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정비사업이 이루어지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서정혜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목록 댓글목록 이전글 용인도시공사, 2015년을 혁신 원년으로...경영목표 수립 14.11.14 다음글 용인시디지털산업진흥원, 사물인터넷 국제전시회 공동관 운영 14.1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