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현국 의장 “국권회복 앞장선 독립운동가 애국심 기려야”
- 道의원, 3·1절 앞두고 경기도 생존 애국지사 전원 위문 -
김완규 2022-02-28 18:26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밴드 주소복사

본문

장현국 경기도의회 의장(더민주, 수원7)과 진용복(더민주, 용인3)·문경희(더민주, 남양주2) 부의장을 비롯한 도의원들은 103주년 3·1을 앞두고 도내 항일 애국지사 전원의 자택을 각각 방문해 존경과 감사를 전했다.

 

f01a74c9786174885f59d0c191e998cd_1646040292_6985.jpg
220228 장현국 의장 등 도의원, 3.1절 앞두고 경기도 생존 애국지사 전원 위문 (1)

 

경기지역에 거주 중인 생존 애국지사는 이영수(99·수원오희옥(97·용인김유길(104·군포백운호(92·가평) 선생 등 총 4명이다.

 

f01a74c9786174885f59d0c191e998cd_1646040332_209.jpg
220228 장현국 의장 등 도의원, 3.1절 앞두고 경기도 생존 애국지사 전원 위문 (2)

 

이번 위문은 애국지사께서 살아계실 때 한 번이라도 더 찾아뵙고 숭고한 독립정신을 계승하는 것이 후손으로서 최소한의 도리라는 장현국 의장의 의견에 따라 경기도 독립유공자 예우 및 지원에 관한 조례에 근거해 이뤄졌다.

 

f01a74c9786174885f59d0c191e998cd_1646040374_735.jpg
220228 장현국 의장 등 도의원, 3.1절 앞두고 경기도 생존 애국지사 전원 위문 (3)

 

3·1절을 하루 앞둔 28일 오후 장현국 의장은 이영수 선생과 부인 홍부옥 여사(96)의 자택을 찾아 위문품을 전달하고, 큰절을 올리며 나라를 위한 공헌에 거듭 감사를 전했다.

극심한 허리통증으로 거동이 불편한 이 선생은 홍 여사의 부축을 받아 무거운 몸을 일으켜 앉으며 장현국 의장을 반겼다. 홍 여사는 잊지 않고 찾아줘서 고맙다라는 인사를 여러 차례 건네며 반가움을 전했다.

1924년 중국 심양에서 출생한 이 선생은 독립운동을 펼치다 일본군의 총에 맞아 순직한 아버지와 형님을 보며 자연스레 항일투쟁의 길을 걷게 됐다. 1944년 광복군 제3지대에 입대해 군자금 전달, 학도병 귀순공작 활동 등을 전개하고 6·25 전쟁에 참전했으며 이후 대위로 전역할 때까지 평생 나라를 위해 헌신했다.

항일활동 공로를 인정받아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받은 이 선생은 대한민국 최초 보훈복지타운인 수원 소재 국가유공자영구임대아파트에 홍 여사와 함께 살고 있다.

이 선생은 많이 병약해졌지만, 오직 나라를 위한 마음으로 15살부터 조국광복을 외쳤던 기억이 아직도 생생하다라며 올해 백수(99)를 맞고도 나라를 위한 투철한 애국심만은 늙지 않고 마음에 남았다라고 말했다.

이에 장현국 의장은 애국지사의 고결한 희생 덕분에 후손들이 평온하게 살고 있다. 경기도의회가 잊지 않고 애국지사는 물론 가족들까지 잘 보살피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답했다.

이에 앞서 이날 오전 정희시 의원(더민주, 군포2)은 최고령 애국지사(1919년생)인 김유길 선생을 방문했다. 김 선생은 일본 유학 중이던 1944년 학도병으로 징집돼 탈출한 뒤 광복군에 입대해 활동했다. 한국광복회 부회장, 한국광복군동지회 회장을 역임했으며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을 받았다.

이와 함께 지난 25일 진용복 부의장은 엄교섭 의원(더민주, 용인2)과 오희옥 선생의 자택을 찾았고, 같은 날 문경희 부의장과 김경호 의원(더민주, 가평)은 백운호 선생의 자택을 방문했다.

진용복 부의장 등은 노환으로 병원에 입원한 오 선생과 백 선생을 대신해 가족들에게 위문품을 전달했다.

오 선생은 생존 애국지사 중 유일한 여성 독립운동가이자 3대에 걸쳐 민족해방운동을 전개한 독립운동가 집안의 자손이다. 193914살 나이에 중국 유주(幽州)에서 결성된 한국광복진선청년공작대에 입대해 1941년 광복군 제5지대에서 광복군으로 활약한 뒤 1944년 한국독립당 당원으로 활동했으며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받았다.

백 선생은 194212세 나이에 독립정신을 고취하는 벽보를 붙였다는 이유로 일본경찰에 체포돼 6개월 간 고초를 겪는 등 조국독립에 기여한 공로로 2019년 대통령 표창을 받았다.

장현국 의장은 애국지사의 희생과 공훈을 되새기는 일은 과거를 돌이켜보며 현재를 진단하고 미래를 전망하기 위해 꼭 필요한 자세라며 “3·1절을 맞아 국권회복에 앞장선 선열의 숭고한 애국심을 기렸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말했다.

한편, 지난 201810월 경기도의회가 개정한 경기도 국가보훈 대상자 등 예우 및 지원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안에 따라 경기도는 보훈처에서 지급하는 보훈급여금과 별도로 도내 항일 애국지사에게 매달 100만 원씩의 경기광복유공연금을 지원하고 있다.

 

댓글목록

한국노동교육신문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중부대로 1144,102/2103 | 제보광고문의 031-335-1289 | E-mail: jhseo0625@hanmail.net
인터넷신문 등록일 2013.07 .15 | 등록번호 경기 아50716호 | 발행인 오예자 | 편집인: 김완규 | 청소년보호책임자 오예자
Copyright© 2004~2025 한국노동교육신문 All right reserved | Designed by BLESS 031)954-8601

기사제보
----------
취재요청
----------
광고
제휴문의
----------
청소년
보호상담자
지정 및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