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민 10명 중 7명 “생활물가 힘들다”… 절반은 ‘경제 이해 교육’ 원해
○ 응답자 86.6% “생활물가 상승 심각”… 저소득층 40.3% 매우 심각 응답
○ 도민 41.2%, 물가 안정 최우선 품목으로 ‘달걀’ 꼽아
○ 응답자 절반 이상, 경제 흐름과 물가 구조 이해 교육 원해
서정혜 2025-07-25 08:03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밴드 주소복사

본문

경기도민 10명 중 5명 이상이 물가 상승과 같은 경제 변화를 이해하고 대응하는 법을 배우고 싶다고 답했다. 단순한 생계 지원을 넘어, 변화에 적응하고 자립하는 역량을 키우는 교육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확인됐다.

 

2e68e7aba3538b32646d40b1a38d3c74_1753398156_4852.jpg
경기도민+평생교육+이슈조사+2차

 

경기도평생교육진흥원은 지난 626일부터 30일까지 경기도에 거주하는 만 19세 이상 성인 500명을 대상으로 물가 상승에 따른 생계 영향 및 평생교육 수요에 대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25일 그 결과를 발표했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4.5%p.

조사 결과 응답자의 86.6%가 생활물가 상승을 매우또는 다소심각하게 느낀다고 답했으며, 여성(90.3%)30(88.5%), 50(87.7%)에서 특히 높은 응답률을 보였다. 월평균 가구소득 276만 원 미만 저소득층에서는 매우 심각하다는 응답이 40.3%에 달했다.

생계에 영향을 받고 있다고 응답한 비율도 70.4%를 기록했다. 전체 응답자 중 19.0%매우 어렵다’, 51.4%약간 어렵다고 답했다. 특히 저소득층의 경우 매우 어렵다는 응답이 전체 평균보다 높은 32.8%로 조사됐다.

물가 안정 정책에서 가장 우선돼야 할 품목으로는 달걀41.2%로 가장 많았고, 이어 쌀(18.2%), 야채(13.4%), 돼지고기(9.4%) 등의 응답이 뒤를 이었다. 고령층과 저소득층을 중심으로 기초 식재료 가격에 대한 민감도가 특히 높게 나타났다.

물가 상승에 대응하기 위해 어떤 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지 묻는 항목에서는 경제 흐름과 물가 구조에 대한 이해54.0%로 가장 높은 응답을 보였다.

전체 응답자의 59.8%는 물가 대응 교육 참여 의향이 있다고 답했으며, 선호하는 방식은 언제든지 시청 가능한 온라인 강의55.2%로 가장 높았다.

오후석 경기도평생교육진흥원장은 이번 조사 결과는 물가 상승이라는 구조적 변화를 도민이 단순히 체감하는 데 그치지 않고, 학습을 통해 대응 역량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점을 보여준다면서 정부 바우처 제도인 평생교육이용권을 적극 활용해 도민이 필요한 경제 교육을 자율적으로 선택하고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경기도 평생교육이용권은 도민 누구나 경제적 제약 없이 평생학습에 참여할 수 있도록 강좌 수강료와 교재비를 1인당 최대 35만 원까지 지원하는 사업이다. 지급된 포인트는 평생교육시설, 평생직업교육학원 등 지정 기관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 가능 기관 목록은 평생교육이용권 누리집(lllcard.kr/gyeonggi)에서 확인할 수 있다.

 

2e68e7aba3538b32646d40b1a38d3c74_1753398135_9584.png
 

댓글목록

한국노동교육신문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중부대로 1144,102/2103 | 제보광고문의 031-335-1289 | E-mail: jhseo0625@hanmail.net
인터넷신문 등록일 2013.07 .15 | 등록번호 경기 아50716호 | 발행인 오예자 | 편집인: 김완규 | 청소년보호책임자 오예자
Copyright© 2004~2025 한국노동교육신문 All right reserved | Designed by BLESS 031)954-8601

기사제보
----------
취재요청
----------
광고
제휴문의
----------
청소년
보호상담자
지정 및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