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49개 하천 수질평가 결과, 80% ‘좋은물’… 1·2등급 하천 증가 ○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2024년 경기도 수질평가보고서’ 발간 - 도내 49개 하천 133개 지점 수질 분석 결과, 106개 지점(79.7%) ‘좋은물’ ○ 1·2등급 하천 증가세. 2022년 71.4%, 2023년 76.7%, 2024년 79.7% 서정혜 2025-08-18 07:39 가 본문내용 확대/축소 본문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은 ‘2024년 경기도 수질평가보고서’를 통해 도내 주요 49개 하천의 79.7%가 ‘좋은물(1~2등급)’로 평가됐다고 밝혔다. 이는 2023년 76.7% 대비 3.0%포인트 개선된 수치다.조사는 2024년 1월부터 12월까지 남한강, 북한강, 한강, 안성천, 시화호 등 ‘한강권역’ 내 하천 49곳 133개 지점을 대상으로 환경부와 함께 매월 실시됐다.경기도청+전경(1)(32)평가 항목은 ▲하천생활환경기준 목표 수질 달성도 ▲연평균 수질 변화 추이 ▲Q-GIS(오픈소스 지리정보시스템)를 활용한 수계별 오염도 분석 ▲최근 10년간 수질 변화 경향 ▲도내 10개 호소의 연도별‧수계별 수질 개선율 및 영양상태 등이다.조사 결과, 한강수계 15개 중권역 중 경안천, 의암댐, 홍천강, 청평댐, 팔당댐, 임진강 상·하류, 한강잠실, 한강 하류 등 9개 중권역은 조사 지점 전부가 ‘좋은물’로 나타났다. ‘좋은물’은 생화학적 산소요구량(BOD, 물속 유기물 분해 시 필요한 산소 양) 3.0㎎/L 이하로, 정수처리 후 생활용수나 수영 용수로 활용 가능한 수준이다.최근 3년간 연도별 ‘좋은물’ 달성도는 2022년 71.4%, 2023년 76.7%, 2024년 79.7%로 개선세를 보였다.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은 2018년부터 매년 수질평가보고서를 발간·배포하고, 누구나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경기도 물정보시스템(water.gg.go.kr)과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gg.go.kr/gg_health) 누리집에 게시하고 있다.김동기 물환경연구부장은 “보고서가 하천·호소의 수질개선 정책 수립과 수자원 관리를 위한 근거자료로 폭넓게 활용되길 기대한다”며 “도민이 체감할 수 있는 물 환경 조성을 위해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연구를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서정혜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목록 댓글목록 이전글 용인특례시 기흥구, 장기 방치 가설건축물 정비 실태조사 마무리 25.08.18 다음글 고용노동부 경기지청장, 「안전일터 프로젝트」 불시점검 실시 25.08.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