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물열차 탈선감지장치, 약속만 있고 실적은 제자리”
- 2025년 7월 기준 전체 차량 8,077대 중 1,422대만 장착, 객차는 전무
- 손명수 의원, “탈선감지장치 확대·점검 시급…근본 대책 마련해야”
김완규 2025-09-25 16:03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밴드 주소복사

본문

최근 5년간 국내 철도 탈선사고는 20203건에서 202326건으로 8배 이상 급증했다. 2024년 이후 다소 줄었음에도 불구하고 사고가 꾸준히 이어지며 국민 안전을 위협하고 있다.

 aa13d4e4aa90cd19de48a86f3dd8c7e7_1758783870_8718.jpg

손명수의원_프로필사진

국토교통부는 2016년 신탄진~매포 구간 화물열차 탈선사고를 계기로 화물열차 안전관리대책을 발표하면서 탈선감지장치 장착 확대 방안을 포함했지만, 여전히 제대로 이행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손명수 의원(경기 용인시을, 더불어민주당)이 한국철도공사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화물열차 탈선감지장치 장착 대수는 20218월 기준 502(5.05%), 20221,003(10.99%), 20231,221(14.37%), 20241,358(16.70%), 20257월 기준 1,422(17.61%)로 해마다 소폭 증가했다.

 

그러나 전체 차량이 8천여 대에 달하는 점을 고려하면, 장착률은 여전히 20%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다. 코레일이 2021‘2025년까지 전 차량에 탈선감지장치를 장착하겠다고 공언했음에도, 아직까지 장착률은 현저히 부족한 셈이다.

 

최근 5년간 국내 철도 탈선사고의 주요 원인은 차량 주행장치 고장으로, 전체 74건 중 15건을 차지하며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이는 차축베어링 발열·손상에서 비롯한 것으로 운행 중 발견이 어렵고, 일단 고장이 발생하면 바로 탈선으로 직결될 수 있어 위험성이 더욱 크다.

 

손명수 의원은 국민의 생명과 안전은 그 어떤 것보다 우선돼야 한다수차례의 약속에도 불구하고 지지부진한 대책으로는 또 다른 사고를 막을 수 없다. 탈선감지장치 전면 확대와 철저한 관리·점검을 통해 더 이상 국민 안전이 위협받지 않도록 정부와 공사가 책임 있는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댓글목록

한국노동교육신문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중부대로 1144,102/2103 | 제보광고문의 031-335-1289 | E-mail: jhseo0625@hanmail.net
인터넷신문 등록일 2013.07 .15 | 등록번호 경기 아50716호 | 발행인 오예자 | 편집인: 김완규 | 청소년보호책임자 오예자
Copyright© 2004~2025 한국노동교육신문 All right reserved | Designed by BLESS 031)954-8601

기사제보
----------
취재요청
----------
광고
제휴문의
----------
청소년
보호상담자
지정 및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