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의회 김창식 부위원장, 수산물 안전성 검사는 도민 건강과 직결된 사안… 검사 체계 강화해야 ○ 김창식 부위원장, 해양수산자원연구소 검사 항목 확대 및 안전관리 체계 강화 필요성 제기 오예자 2025-11-11 09:53 가 본문내용 확대/축소 본문 경기도의회 농정해양위원회 김창식 부위원장(더불어민주당, 남양주5)은 10일(월) 열린 제387회 정례회 농정해양위원회 1일차 행정사무감사에서 경기도해양수산자원연구소의 수산물 안전성 검사 항목이 해양수산부 기준의 절반 수준에 머물러 있다며, 검사항목 확대와 체계 강화 필요성을 제기했다.251111 김창식 의원, 수산물 안전성 검사는 도민 건강과 직결된 사안... 검사 체계 강화해야김 부위원장은 “현재 연구소의 검사 항목은 해양수산부 기준 196종 대비 절반 수준인 95종에 불과하다. 이 같은 차이가 발생한 구체적인 이유와 개선 대책은 무엇이냐”고 질의했다.이에 대해 김성곤 소장은 2024년 1월 검사 항목이 확대되었으며, 검사 항목은 법적 의무가 아닌 권고사항이라며, 2026년까지 예산을 확보해 관련 장비를 구입하고, 검사 항목을 167종으로 늘릴 계획이라고 답변했다.이어 김 부위원장은 “전북·전남·인천·충남 등 타 광역지자체보다 검사 항목 수가 적은데, 이로 인해 도내 수산물 유통 구조나 소비자 신뢰에 미친 영향에 대한 분석이 있는지. 향후 연차별 추진 로드맵과 세부 실행 계획을 마련했는지 구체적으로 제시할 것”을 요구했다.이에 김 소장은 “시도 연구소 간 검사 체계에 경쟁적인 경향이 있다. 경기도는 예산과 인력이 다소 부족하지만, 검사 건수는 전국에서도 많은 편이며, 내년까지 신규 항목을 추가해 검사 체계 확대를 진행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김 부위원장은 “도민권익위원회 권고사항에 따라 기억상실성 패류독소 등 기존 체계로는 확인이 어려운 유해 물질 검사 항목 도입 시기와 우선순위를 명확히 설정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끝으로 김창식 부위원장은 수산물 안전성 검사는 도민 건강과 직결된 매우 중요한 사안이다. 검사 항목 확대와 안전관리 체계 강화에 소홀함이 없도록 철저하게 준비할 것을 당부했다. 오예자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목록 댓글목록 이전글 황세주 의원, ‘내실 강조’… 복지재단·사회서비스원 행감 지적 25.11.11 다음글 경기도의회 김창식 부위원장, 농기계사고 예방 대책 주문 25.1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