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 경기도의원, “경기도 농정, 경축순환ㆍ쌀 소비ㆍ수산물 안전까지 종합 대응 필요” ○ “경축순환농업, 부서 간 협업으로 체계적 추진 기대… 김밥ㆍ디저트 페스타는 유통ㆍ가공 연계해야” ○ 중국·북한 방사능 방류… 경기도 차원의 선제적 수산물 안전 대응 필요 오예자 2025-11-11 15:10 가 본문내용 확대/축소 본문 경기도의회 농정해양위원회 이오수 의원(국민의힘, 수원9)은 10일 열린 제387회 정례회 농수산생명과학국 및 해양수산자원연구소 행정사무감사에서, ▲경축순환농업 부서 협업 체계, ▲쌀 소비 확대를 위한 가공·유통 전략, ▲북중 방사능 유입 대응 등 경기도 농정의 주요 과제에 대해 집행부에 질의하고 개선을 촉구했다.251110 이오수 의원. “경기도 농정. 경축순환·쌀 소비·수산물 안전까지 종합 대응 필요”(1)이 의원은 먼저 “가축분뇨, 퇴비 품질, 토양처방, 경종농가 연계 문제는 단일 부서로 해결될 수 없는 구조”라며, “늦었지만 농수산생명과학국, 축산동물복지국, 농업기술원이 협의체를 구성한 것은 환영할 일이며, 앞으로도 이 협업 체계가 지속적으로 작동되길 기대한다”고 강조했다.이어 쌀 소비 촉진 관련 질의에서, “경기미 김밥 페스타와 디저트 페스타가 전국단위 행사로 자리잡으며 소비자 체험 기반은 잘 마련된 상황”이라면서도, “단발성 행사에 그치지 않고 김밥 키트, 쌀베이킹 밀키트 등 연중 유통 가능한 가공형 소비재 개발로 이어져야 한다”고 제안했다.이 의원은 “경기도 쌀 가공산업을 민간 식품기업과 협업해 브랜드화하고, 온라인 유통·수출 기반을 마련하는 전략이 필요하다”며 실질적인 소비 확대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또한 수산물 안전성 관련 질의에서 이 의원은 “오염수 방류의 실질적 위협은 일본보다도 중국 원전과 북한의 우라늄 정련공장 등 서해안 인접국의 방사성 물질 유입 가능성”이라며, “경기도 차원의 독자적인 실태조사와 해양 먹거리 안전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이 의원은 마지막으로 “쌀, 퇴비, 수산물 모두 도민의 삶과 직결되는 먹거리 정책”이라며, “행사는 소비로, 정책은 실천으로, 협업은 성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집행부의 적극적인 대응을 당부드린다”고 밝혔다. 오예자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목록 댓글목록 이전글 정하용 의원, “베이비부머 사업 위탁·분산운영 구조 개선 및 사회적경제원 지역책임성 강화” 촉구 25.11.11 다음글 박옥분 경기도의원, 철도․공항․항만, 도민 삶 좌우...책임 있는 운영 혁신 촉구! 25.1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