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언주 의원, “SMR‧자율주행모빌리티 전략산업 지정은 국가 존망이 달린 문제”
- 산업부 장관 질의“국가첨단전략산업위 결정 절실…성장사이클에 올라타야”
- 통상본부장 질의“관세협상 국회비준은 스스로 부담 지는 바보짓…누가 주장하나”
김완규 2025-11-12 09:12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밴드 주소복사

본문

이언주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미래경제성장전략위원장, AI강국위원 회)이 11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이하 산자중기위) 전 체회의에서 “소형모듈원자로(SMR)과 자율주행모빌리티 산업을 국가첨 단전략산업으로 반드시 지정해야 한다”고 강력히 주장했다.

71a33b77025723eceb83346588936744_1762906637_2916.png

이언주 의원은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업부) 장관을 상대로 한 질위에서 “산업이라는 것은 성장 사이클의 초기에 올라타야 경쟁 력을 확보할 수 있다”며 “SMR과 자율주행모빌리티는 지금 막 성장 기의 초입에 들어섰다. 지금 이 시기를 놓치면 영영 선두 그룹에 들 수 없으며, 결국 미래 산업 패권에서도 밀릴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 의원은 이어 “SMR은 원전의 안전성 문제를 혁신적으로 해결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핵추진잠수함 등 방위산업 기술과도 긴밀히 연관 된 국가 전략 기술”이라며 “이 기술을 선점하지 못하면 에너지 주권 을 상실하고, 글로벌 에너지 판도 변화에서 뒤처져 산업경쟁 레이스에 서 영원히 낙오될 위험이 있다”고 경고했다. 


이 의원은 또한 “자율주행모빌리티 역시 인공지능, 센서, 배터리 등 - 2 - 첨단 기술 융합의 중심축으로, 향후 산업 전반의 패러다임 자체를 바 꾸게 될 분야”라며 “정부가 특정 부처의 소관 문제로만 접근할 게 아니라 국가 전략적 판단 아래 범정부 차원에서 지정해야 한다”고 역 설했다.


 김 장관이 “SMR은 에너지 부처 소관이지만 관련 부처와 협의해 검 토하겠다”고 답변하자 이 의원은 “이 문제는 한 부처의 업무를 넘어 국가의 존망이 달린 사안”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한편, 이언주 의원은 이날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을 상대로 한미 간 관세협상 국회 비준 문제에 대해서도 “비준을 통해 오히려 우리에게 불리한 부담을 스스로 지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 의원은 “관세는 미국 행정부가 행정명령으로 조정하는 영역이 며, 우리 국회의 비준 대상이 아니다”라며 “현재 협상된 내용 중 우 리 측 의무는 투자 부담에 가깝다. 그런데 이를 국회가 비준해 법적 구속력을 갖게 되면 우리에게만 불리한 결과가 된다”고 주장했다.


 이어 “미국의 정치상황이나 행정부 기조가 언제든 바뀔 수 있는데, 우리가 미리 법률로 못 박아두면 유연하게 대응할 수 없다”며 “이건 바보 같은 짓이다. 할 수 있다 하더라도 하지 않는 게 현명한 선택이 다”고 일침을 가했다. 이 의원은 끝으로 “지금 한국 경제는 에너지·첨단산업·통상구조 라는 세 축이 맞물려 재편되는 변곡점에 서 있다”며 “정부는 단기적 협상논리보다 장기적 산업전략을 우선시해야 하며, 첨단 기술과 전략 산업에 대한 과감한 투자로 성장 사이클의 초입을 반드시 선점해야 한 다”고 강조했다.//끝 

댓글목록

한국노동교육신문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중부대로 1144,102/2103 | 제보광고문의 031-335-1289 | E-mail: jhseo0625@hanmail.net
인터넷신문 등록일 2013.07 .15 | 등록번호 경기 아50716호 | 발행인 오예자 | 편집인: 김완규 | 청소년보호책임자 오예자
Copyright© 2004~2025 한국노동교육신문 All right reserved | Designed by BLESS 031)954-8601

기사제보
----------
취재요청
----------
광고
제휴문의
----------
청소년
보호상담자
지정 및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