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민 10명 중 7명 “제품·서비스 선택 시 기업의 친환경 활동 고려”
○ 경기연구원, <민간부문 녹색구매 활성화 방안> 발간
○ 민간부문 녹색구매 수준이 저조한 상황으로 상품의 다양성 및 정보 부족, 비싼 가격, 판매 매장 부족이 원인
○ 녹색제품 인증범위 확대, 녹색상품 판매 제도화, 녹색매장 확대, 민간 ESG 경영평가의 녹색생산·소비지표 강화로 탄소중립 체계로의 전환 추진해야...
김완규 2023-01-05 10:22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밴드 주소복사

본문

경기도민 10명 중 7명은 제품이나 서비스를 선택할 때 기업의 친환경 활동 여부를 고려하는, 녹색구매인식도가 높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c3dee28c907d6d1104414653a0e7eee9_1672881668_3812.jpg
공공+및+민간부문+녹색구매+실적+변화_용도별+녹색제품+현황

경기연구원은 20221017~19일 경기도 도민 1천 명에 대해 녹색구매 관련 인식조사한 내용을 담은 민간부문 녹색구매 활성화 방안보고서를 발간했다고 5일 밝혔다.

c3dee28c907d6d1104414653a0e7eee9_1672881705_6465.jpg
연도별+기업의+녹색제품+구매율+변화

2015년 유엔총회에서 채택된 지속가능발전목표에 따라 우리나라도 국가지속가능발전목표(K-SDGs)를 수립해 지속가능한 소비생산증진에 대한 목표와 지표를 설정했다. 이에 따라 소비자도 원료채취, 제조, 유통, 사용, 폐기, 재활용 등 제품의 전 과정에서 인체에 무해 하고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적은 녹색 제품을 구매하는 녹색구매시장을 주목하고 있다.

c3dee28c907d6d1104414653a0e7eee9_1672881736_7663.jpg
친환경제품+구매를+주저하는+이유_친환경제품+시장+확대를+위해+노력해야+할+주체

선 이번 조사에서 제품이나 서비스를 선택할 때 기업의 친환경 활동 여부에 대해 매우 고려한다’ 17.6%, ‘어느 정도 고려한다’ 49.7%로 전체 응답자의 67.3%가 긍정적으로 답변해 기업의 친환경성이 소비자의 제품, 서비스 선택의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친환경제품 시장 확대를 위해 노력해야 할 주체로 정부’(60.2%)기업’(57%)을 주로 꼽으며, 기업의 녹색 생산 소비의 역할을 매우 중요하게 인식했다.

전체 응답자의 68.5%가 환경제품 구매 시 일반제품 대비 ‘5~10%’ 추가 비용을 지불할 의향이 있으며, 친환경제품 구매경험자 586명의 94.7%는 재구매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그러나 전체 응답자들은 친환경제품 구매를 주저하는 이유(중복 응답)일반제품 대비 비싼 가격’ 58.3%, ‘취급 품목 상품의 다양성 부족’ 38.7%, ‘친환경제품에 대한 정보 부족’ 33.2%, ‘친환경제품 판매 매장 부족’ 29.5% 을 지목해 가격경쟁력 및 녹색 제품의 다양성 확보가 중요한 것으로 분석됐다.

에 연구원은 민간의 녹색구매 활성화를 위해 탄소중립, 저탄소제품 구매를 고려한 녹색제품 구매촉진 조례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조례를 연계해 개정하고 이에 따라 기초지자체의 조례를 개정하자고 주장했다.

또한 소비자가 희망하는 생활용품, 어린이용품, 가전제품, 개인위생제품, 가구제품 및 서비스상품으로의 녹색제품 확대 및 유기농 인증, 새활용제품 등 소비자의 수요를 반영한 녹색제품 인증의 범위확대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이에 민간부문의 녹색소비 활성화를 위한 민관협력 추진 전략으로 탄소중립, 저탄소제품 구매를 고려한 녹색구매 관련 법제도 개선 K-ESG 가이드라인을 활용한 녹색구매를 포함한 ESG 경영 활성화 소비자 니즈를 고려한 녹색제품 인증의 범위확대 및 중소형 녹색매장 확대 공공, 민간시설 중심 녹색구매사용표시제확산 녹색구매지원센터중심 계층특화 녹색구매 교육 및 홍보체계 강화를 제안했다.

이정임 경기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민간부문의 녹색구매 활성화를 위해서는 ·제도 개선을 통한 적극적인 민관협력이 필요하고 말했다.

 

댓글목록

한국노동교육신문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중부대로 1144,102/2103 | 제보광고문의 031-335-1289 | E-mail: jhseo0625@hanmail.net
인터넷신문 등록일 2013.07 .15 | 등록번호 경기 아50716호 | 발행인 오예자 | 편집인: 김완규 | 청소년보호책임자 오예자
Copyright© 2004~2025 한국노동교육신문 All right reserved | Designed by BLESS 031)954-8601

기사제보
----------
취재요청
----------
광고
제휴문의
----------
청소년
보호상담자
지정 및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