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동주택 거래 급감으로 지난해 경기도 부동산 총 거래량 전년대비 46.6% 감소
○ 경기도 ’22년 연간 부동산 총 거래량 23만2,729건으로 전년 동기 대비 46.6% 감소
- 5월 이후 지속적인 감소세 유지
- 공동주택 연간거래량은 8만 4,433건으로 지난해보다 58.6% 급감
○ ’22년 연간 공동주택 현실화율은 60%, 개별주택 및 토지의 현실화율은 각각 53%, 48%
- 공시가격 상승 및 실거래가 하락의 영향으로 연간 공동주택 현실화율은 전년 대비 5%P 상승
서정혜 2023-02-01 07:08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밴드 주소복사

본문

지난해(2022) 경기도 부동산 총거래량이 전년도(2021) 보다 절반 가까이 줄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도는 아파트(공동주택) 거래가 크게 줄어들면서 전체 거래량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f016f4480e8a0e4a5fa258b76090047a_1675202894_5177.jpg
경기도청+전경(1)(26)

경기도는 취득신고된 과세자료준으로 분석한 ’22년 연간 부동산 거래동향 및 현실화율 분석 결과를 1일 공개했다. 현실화율은 공시가격이 실거래가격을 얼마나 반영하는지 나타내는 지표로 실거래가 대비 공시가격 비율을 말한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1월부터 12월까지의 경기도 부동산의 총거래량은 232,729건으로 2021435,426건 대비 46.6% 감소했다. 이 가운데 공동주택 거래량은 84,433건을 기록, 2021년 같은 기간 203,820건보다 58.6% 줄어 부동산 거래량 감소의 주도적 역할을 했다.

개별주택은 8,554건이 거래돼 202115,735건 대비 45.6% 감소했다. 토지와 오피스텔의 경우도 거래량이 각각 127,604, 12,138건으로 2021197,031, 18,840건 대비 35.2%, 35.6% 줄었다.

< 부동산 유형별 거래현황 >

 

합 계

공동주택

개별주택

토 지

비주거용부동산

2022

84,433

8,554

127,604

12,138

2021

203,820

15,735

197,031

18,840

전년 대비 증감률

-58.6%

-45.6%

-35.2%

-35.6%

 

지난해 가장 높은 가격으로 거래된 개별주택은 성남시 분당구에 위치한 단독택으로 576천만 원에 거래됐으며, 공동주택도 같은 지역에 위치한 아파트가 48억 원에 매매돼 최고가를 기록했다.

한편, 지난해 경기도에서 거래된 173,021건의 부동산 현실화율을 분석한 결과, 공동주택과 개별주택의 연평균 현실화율은 각각 60%53%, 토지는 48%인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 거래량 급감에 따른 실거래가격 하락과 ’22년 공시가격 상승의 영향으로 공동주택의 현실화율은 202155% 대비 5%p 상승했으며, 개별주택과 토지의 현실화율은 2021(54%·48%)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거래금액별 세부내역을 보면 공동주택의 경우 3억 원 미만 구간의 평균 현실화율이 58%로 나타나 저가 주택의 공시가격이 상대적으로 시세를 반영하지 못하고 있었다. 개별주택의 경우 3억 원 미만 구간의 평균 현실화율은 57%로 나타났다. 토지의 경우는 3억 미만 구간의 현실화율이 47%인 반면, 9억 이상 구간의 현실화율이 55%로 저가 토지일수록 공시가격이 낮은 수준으로 형성돼 있었다.

 

댓글목록

한국노동교육신문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중부대로 1144,102/2103 | 제보광고문의 031-335-1289 | E-mail: jhseo0625@hanmail.net
인터넷신문 등록일 2013.07 .15 | 등록번호 경기 아50716호 | 발행인 오예자 | 편집인: 김완규 | 청소년보호책임자 오예자
Copyright© 2004~2025 한국노동교육신문 All right reserved | Designed by BLESS 031)954-8601

기사제보
----------
취재요청
----------
광고
제휴문의
----------
청소년
보호상담자
지정 및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