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말라리아 환자 발생 예방 선제적 감시 추진
○ 4~10월 말라리아 선제 대응을 위해 ‘말라리아매개모기 감시사업’ 실시
- 파주, 김포, 고양, 동두천, 연천 등 7개 시·군 16개 지점 주 단위로 모니터링
○ 캠핑 등 야외활동 시 모기물림 대비 긴 옷 착용 및 모기 기피제 사용 권고
○ 발열, 오한 등 말라리라 의심 증상 발생 시 즉시 의료기관 방문하여 진료 권고
서정혜 2023-03-23 07:21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밴드 주소복사

본문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은 지난해 경기도 말라리아 환자가 236명으로 전년 대비 34.9% 증가했다고 23일 밝혔다.

경기도에 따르면 코로나19의 영향으로 해외여행 제한과 야외활동 감소로 경기도 말라리아 환자는 2020227명에서 2021175명으로 감소했으나 2022236명으로 늘었다. 전국 말라리아 환자는 2020385, 2021294, 2022420명이다.

cb46adebede0522be353b8dd1da5e163_1679523686_1515.jpg
모기+분류+사진

난해 월별로는 655, 741, 849, 942명 등 6~9월에 전체 79%(187)가 집중됐다.

이에 도는 집중 발생 시기를 앞두고 오는 4월부터 10월까지 말라리아 선제 대응을 위한 조사감시사업을 시행한다. 파주, 김포, 고양, 동두천, 의정부, 포천, 연천 등 7개 시·16개 지점에서 주 단위로 채집장소에 모기를 유인하는 유문 등을 설치해 말라리아매개모기와 기타 모기류 등을 조사한다.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관계자는 도내 말라리아매개모기의 발생빈도와 원충감시를 통해 도민의 건강 보호와 말라리아 재퇴치 실현에 기여하겠다라며 캠핑 등 야외활동이나 말라리아 위험지역 방문 시 감염 예방수칙을 준수하고, 모기에 물린 후 말라리아 의심 증상이 있다면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해야 한다라고 당부했다.

내에서 발생하는 삼일열 말라리아는 일반적으로 7~30일의 비교적 긴 잠복기를 갖고 있으며, 적절한 치료를 받지 않으면 몇 달 또는 몇 년 후에 재발할 수 있으므로 완치 확인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삼일열 말라리아의 주요 증상은 고열, 오한, 두통, 설사, 기침, 콧물, 복통, 오심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말라리아를 예방하려면 모기가 주로 활동하는 야간에 외출을 자제하고, 외출 시에는 긴 옷을 착용하며 야외 취침 시에는 모기장을 사용해야 한다.

 

 

댓글목록

한국노동교육신문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중부대로 1144,102/2103 | 제보광고문의 031-335-1289 | E-mail: jhseo0625@hanmail.net
인터넷신문 등록일 2013.07 .15 | 등록번호 경기 아50716호 | 발행인 오예자 | 편집인: 김완규 | 청소년보호책임자 오예자
Copyright© 2004~2025 한국노동교육신문 All right reserved | Designed by BLESS 031)954-8601

기사제보
----------
취재요청
----------
광고
제휴문의
----------
청소년
보호상담자
지정 및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