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은평선’ 3기 신도시 광역철도 가운데 첫 기본계획 승인, 2031년 개통목표 ○ ‘고양은평선 광역철도 기본계획’ 대광위 기본계획 승인 - 총사업비 1조 7,167억원 향동, 창릉, 능곡, 화정지구 등 15km 구간, 정거장 8개소 반영 ○ 3기 신도시 광역철도 중 최초 기본계획 완료, 적기 개통을 통한 입주민 등 지역 주민 교통편의 제공 및 광역철도망 확보를 통한 지역 개발, 활성화 기대 서정혜 2024-12-03 07:08 가 본문내용 확대/축소 본문 수도권 서북부 지역과 3기 신도시 창릉지구의 교통개선을 위한 ‘고양은평선’ 광역철도 사업이 국토교통부로부터 기본계획 승인을 받았다. ★(고양은평선)_평면_정북 경기도는 지난 2일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대광위)로부터 ‘고양은평선’ 광역철도 사업에 대한 ‘기본계획’ 승인을 통보 받았다고 밝혔다. 3기 신도시 광역철도 가운데는 가장 진행속도가 빠르다. ‘고양은평선’은 경기도 고양시에서 서울시 은평구까지 총 15.0km, 총 사업비 1조 7,167억 규모의 철도 노선으로 2031년 개통을 목표로 추진 중이다. 지난 2019년 국토교통부에서 3기 신도시 신규 택지 공급계획 발표와 함께 광역교통개선대책의 하나로 추진하는 철도사업 중 최초의 기본계획 승인이다. 이번 승인을 시작으로 ‘기본 및 실시설계’를 순차적으로 착수하는 등 사업이 본격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표1>ㅇ (사업절차) 기본계획 수립(경기도) → 기본계획 승인(대광위) → 기본 및 실시설계(경기도) → 사업계획 승인(대광위) → 착공 및 개통(경기도) 이 사업이 완료되면 경기도와 서울을 잇는 광역철도망이 확충되어 고양 창릉지구와 은평구 등 수도권 서북부 지역의 교통 혼잡을 완화할 수 있음은 물론, 출퇴근 시간을 대폭 줄이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양은평선과 서부선이 각각 개통되어 연결된다면 고양시 화정역에서 여의도역까지 출퇴근 시간이 기존 53분(환승 1회)에서 30분으로 대폭 줄어들게 되며, 이는 김동연 경기도지사 공약 중 하나인 ‘광역교통망 확충으로 출퇴근 시간 1시간 단축’ 실천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고양은평선’은 2021년 공공기관 예비타당성 조사를 거친 이후 경기도에서 2022년부터 기본계획 수립 용역에 착수한 바 있다. 이 노선은 현재 서울시에서 추진 중인 서부선 직결을 전제로 추진 중이다. 경기도 관계자는 “고양은평선은 3기 신도시 창릉지구 입주민 및 수도권 서북부 지역의 교통 개선을 위한 핵심 사업”이라며, "고양은평선을 통해 서북권 지역의 광역철도 축이 완성되고 지역 발전과 활성화를 견인하는 계기가 마련될 수 있도록 적기 개통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서정혜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목록 댓글목록 이전글 “사유림 많은 경기도, 경기도형 선도산림경영단지 모델 만들어야” 24.12.03 다음글 소상공인에게는 기회를, 소비자에게는 만족을 준 경기도의 도민체감형 민생회복 사업 24.1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