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초기기업부터 성숙단계 기업까지 연구개발(R&D) 맞춤형 지원
○ 초기기업부터 성숙단계까지... R&D 맞춤형 지원
○ 13개 시군 참여 확대로 도와 시군 동반성장
○ 연구개발 역량 강화 위해 전문가 컨설팅·사업화 연계 지원
김완규 2025-03-27 08:27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밴드 주소복사

본문

경기도와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이하 경과원)‘R&D 첫걸음 기업연구소 지원사업경기도 기술개발사업835천만 원을 투입해 도내 기업의 연구개발(R&D)을 지원한다.

 

9dc2edbabd04abebffd7764d7c558a28_1743031606_7328.jpg
경기도청+전경(1) (1)

 

경기도는 이같은 내용의 ‘2025R&D 지원사업을 통해 초기기업부터 성숙단계 기업까지 전 주기적 R&D 지원체계를 강화한다고 27일 밝혔다.

‘R&D 첫걸음 기업연구소 지원사업은 기술개발 역량과 경영환경 측면에서 상대적으로 취약한 초기 기술기업들이 연구개발 사각지대에 놓이지 않도록 돕기 위한 사업이다. 기업부설연구소나 연구개발전담부서를 신설 또는 이전한 지 3년 이내 기업을 대상으로 하며, 10개 과제를 선정해 연간 최대 15천만 원씩, 최대 2년간 연구개발(R&D) 자금을 지원한다.

 

9dc2edbabd04abebffd7764d7c558a28_1743031632_2083.jpg
경기도청+전경(2)(97)

 

기업 수요 중심의 현장밀착형 기술개발을 지원하는 경기도 기술개발사업은 총 35개 과제를 선정해 분야별로 1년간 과제당 최대 1억 원 또는 15천만 원을 지원하며, 기업주도(일반) 분야와 시군 분야로 나뉘어 추진된다.

올해 시군 분야에는 용인·고양·화성·남양주·안산·시흥·파주·이천·의왕·포천·여주·가평·연천 등 총 13개 시군이 참여하며, 이들 지역에 소재한 기업은 시군 연계과제에 신청할 수 있다.

이번 R&D 지원사업은 수요자 중심의 실질적 지원에 초점을 맞춰, 단계별 평가를 도입하고 신청서류를 간소화했다. 1단계에서는 기술개요서와 자격요건 서류만 제출하면 되며, 서면평가를 통과한 약 3배수 기업이 연구개발계획서, 재무제표 등을 추가 제출한 후 최종 평가를 받는다. 선정 후에는 연구개발에 필요한 인건비, 직접비(연구장비·재료비, 시제품제작비, 시험분석비 등)를 지원받을 수 있다.

아울러 경기도는 대학과의 공동연구를 수행하는 과제에 가산점을 부여해 산학협력 활성화를 유도하는 한편, 기술개발 성과 창출 및 사업화 연계 강화를 위해 R&D 전문가 컨설팅을 제공하고, 우수과제에 대해서는 후속 기술 사업화 지원을 통해 성과를 확산할 계획이다.

이성호 경기도 미래성장산업국장은 요즘처럼 경제 불확실성이 큰 시기일수록 기술 경쟁력이 기업 생존의 핵심이라며 경기도는 도내 기업들이 위기 속에서도 기술력을 기반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계획이며,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한 실질적인 R&D 지원이 이뤄질 수 있도록 세심히 살피겠다고 말했다.

사업에 참여를 희망하는 기업은 41118시까지 경기도 R&D관리시스템’(pms.gbsa.or.kr)을 통해 온라인 신청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경기기업비서(www.egbiz.or.kr) 또는 R&D관리시스템 공고문을 확인하거나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RnD지원팀(031-259-6781~6783)으로 문의하면 된다.

 

9dc2edbabd04abebffd7764d7c558a28_1743031586_7886.png
 

댓글목록

한국노동교육신문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중부대로 1144,102/2103 | 제보광고문의 031-335-1289 | E-mail: jhseo0625@hanmail.net
인터넷신문 등록일 2013.07 .15 | 등록번호 경기 아50716호 | 발행인 오예자 | 편집인: 김완규 | 청소년보호책임자 오예자
Copyright© 2004~2025 한국노동교육신문 All right reserved | Designed by BLESS 031)954-8601

기사제보
----------
취재요청
----------
광고
제휴문의
----------
청소년
보호상담자
지정 및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