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의회 박상현 의원, “AI 기반 감사정보시스템… 디지털 문서화 넘어, 인공지능 감사로!”
○ “감사는 더 이상 수작업이 아니다… 반복 업무, 자동화와 AI로 처리해야”
○ “31개 시군 자료 업로드만으로 감사 가능하게… 공무원 피로 줄여야”
○ “감사자도, 피감자도 피로한 시스템… AI 기반 관리로 바꿔야”
김완규 2025-06-16 18:20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밴드 주소복사

본문

경기도의회 박상현 의원(더불어민주당, 부천8)613일 경기도 감사위원회 회의실에서 열린 감사정보시스템 구축 사업 착수보고회에 참석해, 이번 시스템은 단순한 정보 축적을 넘어서 행정 데이터를 기반으로 정책 효과를 분석하고, 예산의 타당성을 검증하는 플랫폼이 되어야 한다 강조했다.

 

10fbf6c4c10fb8191b53690c30c231f5_1750065579_3066.jpg
250616 박상현 의원,
AI 기반 감사정보시스템... 디지털 문서화 넘어, 인공지능 감사로!

 

 

박상현 의원은 그간의 전자정부는 디지털 문서화에 그쳤지만, 지금은 인공지능 기술이 행정 전반에 접목되는 시대라며 감사 또한 AI 기반의 분석과 자동화로 전환되어야 한다고 밝혔다. 특히 현재의 챗GPT 같은 기술은 100개의 파일도 일괄 분석이 가능하다, “감사도 더 이상 반복 수작업에 의존할 이유가 없다고 강조했다.

이날 박상현 의원은 31개 시군이 별도로 로그인하여 자료를 통째로 업로드만 해도 감사가 가능하도록 하는 자동 분류 및 재학습 시스템을 구상 중임을 밝히며, “자료를 업로드만 하면, AI가 이를 탐색하고 재분류해 감사자에게 보여주는 방식이 되어야 한다고 제안했다.

또한, “기존의 감사는 감사자도 피감기관도 피로한 구조였다이제는 AI가 반복 업무를 대신 수행하고, 공무원은 전략적 판단과 정책 설계에 집중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박상현 의원은 이번 시스템은 경기도가 처음 시도하는 감사모델이자, 다른 지자체나 국가 기관에도 확산될 수 있는 혁신 사례가 될 수 있다, 단순히 기술을 도입하는 것이 아니라, 그 기술이 행정의 피로를 줄이고, 정책을 평가하는 기준으로 작동하게 해야 한다고 말했다.

끝으로 박상현 의원은 “AI 기반 감사시스템은 앞으로 정책의 책임성과 예산의 정합성을 높이는 데이터 행정의 핵심 인프라가 될 것이라며, 도정 전체에 걸친 디지털 감사체계의 뼈대를 설계하는 이번 사업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댓글목록

한국노동교육신문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중부대로 1144,102/2103 | 제보광고문의 031-335-1289 | E-mail: jhseo0625@hanmail.net
인터넷신문 등록일 2013.07 .15 | 등록번호 경기 아50716호 | 발행인 오예자 | 편집인: 김완규 | 청소년보호책임자 오예자
Copyright© 2004~2025 한국노동교육신문 All right reserved | Designed by BLESS 031)954-8601

기사제보
----------
취재요청
----------
광고
제휴문의
----------
청소년
보호상담자
지정 및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