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 보건환경연구원, 유통 텀블러 제품 내부 유해금속 검사 결과 ‘안전’
○ 도내 유통 텀블러 제품 유해금속 안전성평가 결과 모두 적합
- 텀블러 내부 스테인리스 재질 70건에 대해 기준·규격 검사 실시
○ 텀블러 내부 온도 조건 변화에 따른 용출량 조사 결과도 안전
서정혜 2022-03-23 06:19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밴드 주소복사

본문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이 도내 유통 텀블러 제품 70건을 대상으로 유해금속 안전성을 조사한 결과 모두 기준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23일 밝혔다.

 

64af5b648ddac68eabf28e82f078abec_1647983955_8236.jpg
텀블러

 

연구원은 지난해 3월부터 10월까지 도내 대형마트나 프랜차이즈커피 전문점 등에서 유통되는 스테인리스 재질의 텀블러 총 70개를 수거해 납, 카드뮴, 니켈, 비소 등 유해금속 4건에 대한 안전성을 조사했다.

검사 결과 시료 70개 모두에서 납, 카드뮴, 니켈, 비소가 법정 기준·규격치 이내로 검출됐다. 금속별로 보면 (Pb): 불검출(기준치 0.4 mg/L 이하) 카드뮴(Cd): 불검출(기준치 0.1 mg/L 이하) 비소(As2O3): 불검출(기준치 0.2 mg/L 이하) 등은 모두 검출되지 않았고, 니켈(Ni)만 모든 제품에서 0.00~0.01 mg/L(기준치 0.1 mg/L 이하) 미량 검출됐다.

아울러 음료를 텀블러 내부에 보관할 때 온도 조건 변화에 따른 유해금속 용출량도 조사했다. 4, 70, 100에서 30분간 용출 실험을 한 결과 용출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니켈(Ni)의 용출량이 0.0026 mg/L에서 0.0097 mg/L로 증가했으나 기준·규격에 적합한 안전한 수준이었다. 다른 유해 금속은 검출되지 않았다.

박용배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장은 환경보호에 대한 도민들의 관심이 늘면서 텀블러 안전성에 대한 궁금증도 커질 것으로 보고 실험을 진행했다면서 계속해서 도민 생활에 도움이 되는 주제를 가지고 안전성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한편, 코로나19 등의 이유로 한시적으로 허용됐던 카페 등 식품접객업 매장 내 플라스틱 컵, 종이컵,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빨대 등 1회용품 사용이 오는 41일부터 다시 금지돼 텀블러 사용량이 늘어날 전망이다. 환경부는 지난 1‘1회 용품 사용규제 제외대상에서 식품접객업종을 삭제하는 개정안을 고시하고 3개월간의 유예기간을 둔다고 발표했다.

 

 

 

 

 

 

 

 

댓글목록

한국노동교육신문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중부대로 1144,102/2103 | 제보광고문의 031-335-1289 | E-mail: jhseo0625@hanmail.net
인터넷신문 등록일 2013.07 .15 | 등록번호 경기 아50716호 | 발행인 오예자 | 편집인: 김완규 | 청소년보호책임자 오예자
Copyright© 2004~2025 한국노동교육신문 All right reserved | Designed by BLESS 031)954-8601

기사제보
----------
취재요청
----------
광고
제휴문의
----------
청소년
보호상담자
지정 및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