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민 걷기 실천율, 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 회복…흡연율 6년 연속 감소
○ 13일 2021년도 경기도 지역사회건강조사 결과 발표
- 도내 46개 보건소에서 2만1,226가구 4만1,892명 도민 대상 조사
○ 코로나19 거리두기로 감소했던 신체활동 실천은 다소 회복
○ 경기도민 현재 흡연율 6년째 지속 감소
○ 코로나19 장기화하는 가운데 우울감 경험률, 우울증상 유병률 늘어나
서정혜 2022-04-13 07:12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밴드 주소복사

본문

경기도민의 걷기 실천율(신체활동 지표)이 코로나19 유행 전 수준까지 회복했으며, 흡연율은 6년 연속 감소했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경기도는 지난해 8월부터 10월까지 도내 46개 보건소에서 21,226가구 41,892명의 도민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1년도 경기도 지역사회건강조사결과를 13일 발표했다.

 

a4111f55f57ae2e5d60fd4438905d67e_1649801512_1104.jpg
경기도청+광교+신청사+전경

 

‘2021 지역사회건강조사는 흡연, 음주, 안전의식, 신체활동, 식생활, 비만 및 체중조절, 구강건강, 정신건강 등 도민들의 건강 상태·생활과 관련한 여러 항목을 중점적으로 확인했다.

먼저 신체활동 지표를 보면 1주일 동안 1일 총 30분 이상 주 5일 이상 실천한 지표인 걷기실천율46.1%. 코로나19로 외부 활동 제한이 생기면서 202040.6%로 줄었다가 5.5%p 상승했다. 국내 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하기 전인 201945.4%보다 높다.

중등도 이상 신체활동 실천율’(1주일간 격렬한 신체활동 120분 이상 주 3일 이상 등)202017.6%에서 202118.9%로 소폭 상승했다.

이어 현재 흡연율18.1%201622.1%, 201721.0%, 201820.9%, 201919.9%, 202019.1%에 이어 6년 연속 감소로 나타났다. ‘남성 현재 흡연율32.9%로 전국 35.6%에 비해 2.7%p 낮았으나, ‘여성 현재 흡연율3.6%로 전국 2.7%와 비교해 다소 높았다.

음주 지표도 2020년에 이어 더 감소했다. ‘월간 음주율201961.0%, 202056.1%, 202153.7%로 나왔다. 2012년부터 2019년까지 60%대에 머물렀던 것을 고려하면 사회적 거리두기 영향을 받은 것으로 추측된다.

다만 연간 음주자의 고위험 음주율14.2%202014.5%보다 소폭 감소했다. 연간 음주자의 고위험 음주율은 최근 1년 동안 음주한 사람 중 남자는 한 번의 술자리에서 소주 7잔 이상 또는 맥주 5캔 정도, 여자는 소주 5잔 이상 또는 맥주 3캔 정도를 주 2회 이상 마신다고 응답한 사람의 분율이다.

코로나19가 지속되는 가운데 우울감 경험률20206.3%에서 20217.1%, ‘우울증상 유병율20203.3%에서 20213.6%로 증가했는데 이는 전국 값(6.7%, 3.1%)보다 높다.

코로나19의 예방과 관련한 개인위생 지표인 외출 후 손씻기 실천율201988.0%, 202098.2%, 202196.2%였으며, 비누손 세정제 사용률201984.8%, 202094.6%, 202192.4%였다.

경기도 관계자는 이번 조사 결과는 코로나19가 장기화되면서 사회적 거리두기에 대한 피로감과 적응이 함께 나타난 것으로 여겨진다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도민들의 건강증진을 위한 정책 개발에 적극 활용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번 조사 결과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지역사회건강조사 공식 누리집(chs.cdc.go.kr)을 참고하면 된다.

댓글목록

한국노동교육신문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중부대로 1144,102/2103 | 제보광고문의 031-335-1289 | E-mail: jhseo0625@hanmail.net
인터넷신문 등록일 2013.07 .15 | 등록번호 경기 아50716호 | 발행인 오예자 | 편집인: 김완규 | 청소년보호책임자 오예자
Copyright© 2004~2025 한국노동교육신문 All right reserved | Designed by BLESS 031)954-8601

기사제보
----------
취재요청
----------
광고
제휴문의
----------
청소년
보호상담자
지정 및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