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 2025년까지 ‘깨끗한 축산농장’ 2,000곳 중점 육성‥‘호감형 축산업’ 만든다
○ 경기도, 2022 깨끗한 축산농장 조성사업 추진
- 올해 264개 선정 목표‥2025년까지 2,000개소로 확대 추진
- 농장의 자발적 노력으로 깨끗한 축산환경 조성 지역민에 쾌적한 환경 제공
○ 인증서 및 현판 제공, 친환경축산 분야 지원사업 선정 시 가점 부여 등
서정혜 2022-04-19 08:16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밴드 주소복사

본문

경기도는 친환경축산 활성화와 악취 등 축산 환경문제 해소방안으로 ‘2022 깨끗한 축산농장 조성사업을 추진한다고 19일 밝혔다.

 

bad782c0c1d8ec9af5742e9f68e92874_1650323651_6103.png
제공 사진(깨끗한 축산농장 지정농장)

 

현재 경기지역은 가속화되는 도시개발과 귀농귀촌인구 증가로 축산에 대한 주민 불편 민원이 계속 증가하는 추세로, 축산악취 민원이 2018년 말 1,729건에서 2020년 말 3,017건으로 급격히 늘었다.

 

bad782c0c1d8ec9af5742e9f68e92874_1650323715_8562.png
제공 사진(깨끗한 축산농장 지정농장)

 

이에 도는 축산농가의 자발적인 노력으로 깨끗한 환경에서 가축을 사육하고, 지역주민에게는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여 사랑받는 축산업 조성하고자 지난 2017년부터 이 사업을 추진해왔다.

 

bad782c0c1d8ec9af5742e9f68e92874_1650323766_0231.png

 

사업 첫해인 2017년부터 지난해까지 총 980개소의 농장이 사업에 선정돼 다양한 지원을 받았으며, 올해 사업 목표는 264개소다.

도는 지속적인 홍보와 상시 모집을 통해 2025년까지 깨끗한 축산농장을 2,000개소로 확대할 계획이다.

 

bad782c0c1d8ec9af5742e9f68e92874_1650323796_1515.png

 

사업은 신청 희망 농장을 대상으로 농림축산식품부 주관하에 서류검토 및 현장평가를 진행, 평가 기준에 부합한 농장을 깨끗한 축산농장으로 지정하는 식으로 운영된다. 주요 평가 기준은 축사시설, 악취관리, 분뇨처리, 축사 주변 환경 상태 등이다.

선정된 농장에는 깨끗한 축산농장인증서 및 현판은 물론, 가축분뇨 처리 지원사업, 축사 이미지 개선 지원사업 등 각종 친환경축산 분야 지원사업 대상자 선정 시 가점을 부여할 방침이다.

아울러 축산환경관리원을 통해 깨끗한 축산농장유지를 위한 전문가 컨설팅, 사후관리 등을 지원할 계획이다.

이 사업은 별도의 신청 기간 없이 상시 모집하며, 신청 희망 농장은 각 소재지 시군 축산부서에 문의 후 신청하면 된다.

한편, 도는 이번 사업 외에도 올해 총사업비 350억 원을 투입해 축산환경개선, 축사 악취 저감 시설 등 9개 사업을 지원, 축사환경이 개선되도록 추진하는 한편, 깨끗한 축사 이미지 개선에 노력할 계획이다.

김영수 경기도 축산정책과장은 쾌적한 축산환경 조성은 경기도 축산이 나아가야 할 방향이라며 많은 농장이 깨끗한 농장으로 지정받아 지역주민과 상생하는 호감형 축산업이 되도록 노력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댓글목록

한국노동교육신문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중부대로 1144,102/2103 | 제보광고문의 031-335-1289 | E-mail: jhseo0625@hanmail.net
인터넷신문 등록일 2013.07 .15 | 등록번호 경기 아50716호 | 발행인 오예자 | 편집인: 김완규 | 청소년보호책임자 오예자
Copyright© 2004~2025 한국노동교육신문 All right reserved | Designed by BLESS 031)954-8601

기사제보
----------
취재요청
----------
광고
제휴문의
----------
청소년
보호상담자
지정 및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