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북부 지역 최근 3년간 전기화재 비중 27.7%→31.8%. 점진적 증가 추세
○ 경기도북부소방재난본부 분석 결과 경기북부 전기화재, 최근 3년간 점진적 증가
- 최근 3년간 전기화재 인명피해 86명(전기화재 26건당 1명 꼴)
- 3년간 847억 원 재산 피해 발생(전체 재산 피해의 23% 차지)
○ 전기안전공사와 지난해 10월부터 ‘전기화재 저감협력 소통망’ 구축, 합동점검 펼쳐
서정혜 2023-02-02 07:40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밴드 주소복사

본문

경기북부 지역 전기화재가 최근 3년간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일 경기도 북부소방재난본부에 따르면 최근 3년간 경기북부 지역 화재 발생 원인을 분석한 결과 부주의 화재가 전체 화재의 42.5%를 차지하며 가장 많았다. 이어 전기화재가 30.1%로 뒤를 이었다.

ce5af6ef4f4f9268c840644af2730add_1675291182_7808.jpg
배전반+화재+사진

하지만 화재 원인의 증가 추이를 살펴보면 부주의 화재는 202045.6%(1,184)에서 202139.8%(945), 202241.9%(1,040)로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전기화재는 202027.7%(720), 202131%(735), 202231.8%(791)로 증가추세를 보였다.

ce5af6ef4f4f9268c840644af2730add_1675291219_405.jpg
화재진압+사진

이 기간에 경기북부에서는 전기화재로 약 847억 원의 재산피해가 발생했으며 86명의 인명피해가 발생했다. 전기화재 26건당 1명의 인명피해가 발생한 셈이. 지난해 발생한 791건의 전기화재를 화재발생 장소별로 살펴보면 주거시설이 210(26.5%)으로 가장 많이 발생했으며, 이어 산업시설에서 182(23%), 자동차에서 88(11.1%) 발생한 것으로 분석됐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주거시설 중에서는 아파트 등 공동주택에서 94, 단독주택 91, 주거용 비닐하우스 25건 순으로 발생했으며, 산업시설의 경우에는 공장 86, 창고 53, 동식물시설 33건 등의 순이었다.

시기별로는 1월과 8, 그리고 12월에 전기화재가 집중적으로 발생했다. 주거시설 등에서 멀티콘센트에 전기장판, 전기난로, 에어컨 같은 냉·난방기의 문어발식 사용으로 과부하·과전류에 의한 전기화재와 분전반 등 전기시설에 습기가 침투해 발생하는 트래킹에 의한 전기화재가 대부분인 것으로 분석됐다.

덕근 본부장은 전기는 잘못 사용했을 경우 가장 무서운 재난이 될 수 있기에 도민들께서는 전기 사용시 안전수칙을 준수해 전기화재가 저감될 수 있도록 예방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북부소방재난본부는 전기안전공사 경기북부지역본부와 전기화재 저감 협력 소통망을 구축해 지난해 10월부터 전기화재 취약대상에 대해 전기설비 관리상태 전반을 확인하는 등 소방·전기 합동점검을 펼치며 전기화재 저감을 위해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댓글목록

한국노동교육신문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중부대로 1144,102/2103 | 제보광고문의 031-335-1289 | E-mail: jhseo0625@hanmail.net
인터넷신문 등록일 2013.07 .15 | 등록번호 경기 아50716호 | 발행인 오예자 | 편집인: 김완규 | 청소년보호책임자 오예자
Copyright© 2004~2025 한국노동교육신문 All right reserved | Designed by BLESS 031)954-8601

기사제보
----------
취재요청
----------
광고
제휴문의
----------
청소년
보호상담자
지정 및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