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가공식품의 가열 조리에 따른 아크릴아마이드 조사 결과. ‘안전’ ○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가공식품의 가열 조리에 따른 아크릴아마이드 검출량 조사 - 에어프라이어로 조리하는 냉동 빵류 등 50건, 식품접객업소 감자튀김 20건 검사 - 아크릴아마이드 국내 권장규격(1 mg/kg 이하) 이내 검출, “모두 안전” 서정혜 2023-04-17 07:53 가 본문내용 확대/축소 본문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이 도내 유통된 가공식품 50건과 식품접객업소 감자튀김 20건을 대상으로 가열 조리에 따라 발암 추정 물질인 ‘아크릴아마이드’ 검출량을 조사한 결과, 모두 안전한 수준이라고 17일 밝혔다.경기도청+광교청사+전경(1)(7)연구원은 지난해 3월부터 10월까지 도내 대형유통매장 및 온라인 매장에서 에어프라이어로 조리 가능한 가공식품(냉동 빵류 및 서류가공품) 50건과 기름에 튀기는 방식으로 조리하는 식품접객업소 감자튀김 20건을 수거해 아크릴아마이드 검출량을 비교·조사했다.아크릴아마이드는 탄수화물 함량이 높고 단백질 함량이 낮은 식물성 식품을 120℃ 이상의 고온에서 조리할 때 생성되는 물질로,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anization, WHO) 산하 국제암연구소(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IARC)에서 인체 발암 추정 물질(Group 2A)로 분류하고 있다. 식품접객업소 감자튀김의 아크릴아마이드 국내 권장규격이 1mg/kg 이하인 가운데 가공식품 50건 조사 결과를 보면 제품에 표시된 에어프라이어 조리법으로 조리 시 냉동 빵류 24건에서는 20건이 불검출, 4건이 0.4010mg/kg 이하였다. 냉동 감자가공품 등 서류가공품 30건에서는 6건이 불검출, 24건이 0.6941mg/kg 이하였다. 식품접객업소 감자튀김 20건에서는 0.1180~0.9774mg/kg의 수치를 나타냈다.연구원 관계자는 “에어프라이어는 조리 온도가 높고 조리 시간이 길어 아크릴아마이드가 생성될 가능성은 있으나 제품에 표시된 조리법에 따라 조리한다면 아크릴아마이드로부터 안전한 식품을 섭취할 수 있을 것이다”라고 말했다. <참고자료1> 식품 분류별 아크릴아마이드 검출량 식품분류검사(건)검출(건)검출량(mg/kg)권장규격(mg/kg)냉동식품(빵류)204불검출~0.4010-냉동식품(서류가공품)3024불검출~0.6941-식품접객업소 조리식품(감자튀김)20200.1180~0.97741 이하 <참고자료2> 아크릴아마이드 대상품목 및 권장규격 대상품목권장규격(mg/kg)1)영·유아용 식품0.3 이하시리얼류0.3 이하과자1 이하감자튀김(식품접객업소의 조리식품)1 이하커피(볶은 커피, 인스턴트 커피, 조제커피)0.8 이하다류(고형차)1 이하곡류가공품 및 즉석섭취식품1 이하 1)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 중 아크릴아마이드 권장규격 운영 계획(2020) 서정혜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목록 댓글목록 이전글 경기도, 지역특화 컨벤션 육성 공모사업 결과. 수원 세계유산도시 포럼 등 3개 선정 23.04.17 다음글 경기도, 17일부터 외국인 관광객 전용 ‘이지(EG)투어버스’ 운행 23.0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