숙의공론조사 참여 경기도민 95%,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 발전 시설 설치 찬성” 경기도, 6개월 간의 경기RE100 숙…
○ 경기도, 14일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경기RE100 과제와 도민참여 방안’ 숙의공론조사 결과 발표
- 7일간의 자가 학습과 2일간의 전문가발표, 질의응답, 토론 등 숙의과정을 거친 후, 최종 209명의 도민이 숙의공론조사에 참여
- 숙의 후, 거주지역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 발전 시설 설치 찬성률 높아졌으며(84%→95%), 특히 ‘매우 반대’ 의견이 감소해 주목(7%→0%)
- 경기RE100 분야별 시급성 및 중요성에 대해서는 기업
서정혜 2023-12-14 23:34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밴드 주소복사

본문

경기도는 14일 경기도청 단원홀에서 ‘2023 경기도 도정정책 숙의공론조사 결과보고회를 열고 기후위기대응을 위한 경기RE100 과제와 도민참여 방안에 대한 숙의공론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의공론조사는 만 18세 이상 경기도민 4500명을 대상으로 사전학습 없이 1차 조사(913~27), 1차 조사 응답자 중 성별·연령·권역 등을 고려해 모집한 도민참여단 209명을 대상으로 전문가가 작성한 숙의자료집으로 자가학습을 한 후에 실시한 2차 조사(1118), 숙의토론회 참여 후 3차 조사(1119)로 이뤄졌다. 숙의 토론회는 이틀간 전문가발표질의응답분임토의 등 숙의과정을 포함했다.

먼저 거주지역 내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 발전 시설 설치에 대한 질문에는 찬성의견이 184%, 288%, 395%, 학습하고 토론하는 숙의 과정을 통해 재생에너지에 대한 이해가 높아질수록 재생에너지 발전 시설 설치에 찬성하는 의견이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우 반대의견도 점차 감소(17%23%30%)했다.

반면 거주지역 내 태양광 패널 설치 시 우려 사항의 경우 응답 변화가 두드러졌는데, 1차 조사에선 사용 연한 후 폐기 문제25%로 가장 많이 언급됐으나 숙의 과정 후인 3차 조사에선 설치비용 문제가 절반에 가까운 48%(1차는 19%)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의 과정을 거치면서 사용 연한 후 폐기 문제 (125%311%) 중 호우 시 산사태에 취약한 점(119%36%) 빛 반사로 인한 눈부심(114%37%) 등에 대한 우려는 감소했지만, 설치비용에 대한 우려는 크게 상승했다.

재생에너지 확대가 기후변화 대응에 효과적인지 물은 결과, 1차 조사 당시 효과적이라는 응답이 88%에서 3차 조사에서 99%까지 높아졌으며, 효과적이지 않다는 응답 또한 9%p(110%31%) 감소했다.

RE100이 분야별로 얼마나 도움이 될지에 대해서도 물어보았는데, 대다수 분야에서 90% 이상 긍정적으로 전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경기RE100가정 경제에 도움이 될 것이란 응답은 2차 조사(68%) 대비 3차 조사(85%) 결과가 17%p 증가했다.

도민들은 경기RE100 4대 분야인 기업·산업·공공·도민 RE100의 시급성과 중성에서 크게 공감하고(기업산업공공RE100 시급성 292~98% 3 98~100%) 있는 것이 확인됐으나, 도민 RE100은 다른 분야에 비해 상대적으로 시급성(286% 390%)은 낮게 응답됐다.

경기RE100 도민 참여 방안으로는 홍보 50%, 인센티브 제공 11%, -, -관 협력 8% 등이 제시돼 홍보가 가장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후위기대응을 위한 경기RE100 과제와 도민참여 방안을 의제로 진행된 이번 숙의공론조사는 한국리서치/갈등해결&평화센터 컨소시엄이 수행하고, 조사 전반의 전문성과 객관성 확보를 위해 구성된 경기도 숙의공론조사 연구자문위원회’(위원장, 전의찬 세종대 기후에너지융합학과 교수) 검토와 자문을 거쳤다.

결과보고회에서는 숙의공론조사 결과 발표 후 연구자문위원으로 참여한 세대 전의찬 교수, JTBC 박상욱 기자와 경기도 정책 담당자인 김연지 에너지산업과장이 숙의공론조사 결과 및 의미에 대해 토론하고, 도민들과 소통하는 시간을 가졌다.

숙의공론조사를 주관한 유철호 경기도 정책홍보담당관은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이 무엇인지 깨닫고, 도민, 전문가, 정책 관계자가 함께 모여 소통하는 자리를 가졌다는데 큰 의미가 있다경기RE100의 지속적인 홍보를 통해 도민 공감대 형성을 위해 힘쓰겠다고 말했다.

차성수 경기도 기후환경에너지국장은 기후위기 대응과 성공적인 경기

댓글목록

한국노동교육신문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중부대로 1144,102/2103 | 제보광고문의 031-335-1289 | E-mail: jhseo0625@hanmail.net
인터넷신문 등록일 2013.07 .15 | 등록번호 경기 아50716호 | 발행인 오예자 | 편집인: 김완규 | 청소년보호책임자 오예자
Copyright© 2004~2025 한국노동교육신문 All right reserved | Designed by BLESS 031)954-8601

기사제보
----------
취재요청
----------
광고
제휴문의
----------
청소년
보호상담자
지정 및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