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자를 지켜라’ 도 농기원, 친환경 감자 병해충 방제기술 연구개발 추진
○ 친환경 감자 주요 재배단지에서 병원균 수집
- 감염된 씨감자 사용, 복숭아혹진딧물 등 곤충 매개에 의한 바이러스가 주 원인
○ 씨감자 소독제, 유기농업자재 선발 등 종합방제 연구 추진
서정혜 2024-09-08 08:22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밴드 주소복사

본문

경기도농업기술원이 친환경 감자 주요 재배단지에서 수집한 총 5종의 병원균에 대해 방제기술 연구를 추진한다고 8일 밝혔다.

 

1a28c872acbb9f61a39cccb4efd878b9_1725751254_1635.jpg
(사진자료1)감자+바이러스병

 

친환경 감자는 학교급식 농산물 출하량 1위를 차지할 만큼 중요한 작목이다. 그러나 최근 이상기후 탓에 시들음병, 역병 등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 같은 병원균은 전파속도가 빠르고 수확량을 떨어트린다.

 

1a28c872acbb9f61a39cccb4efd878b9_1725751287_5049.jpg
(사진자료2)감자+더뎅이병

 

도 농기원은 문제 해결을 위해 지난 3월부터 6월까지 약 3개월간 양주와 양평 등 재배단지에서 봄감자 병원균을 수집했다.

확인된 균은 크게 5종으로 바이러스병 역병 반쪽시들음병 시들음병 더뎅이병 등이다. 이 가운데 감자 바이러스병이 30% 이상을 차지하며 가장 높은 발병률을 보였다. 바이러스병에 걸린 감자는 칼로 도려낸 듯 갈라지는 열개 현상이 나타난다.

 

1a28c872acbb9f61a39cccb4efd878b9_1725751326_5941.jpg
(사진자료3)+감자밭

 

감자 바이러스의 주요 원인은 감염된 씨감자 사용이나 복숭아혹진딧물 같은 곤충 매개체다. 이에 도 농기원은 씨감자 파종 전 병해충을 막아줄 소독제를 개발하고 정향추출물, 유황 등 유기농업자재를 선발하고 농가 현장에 적용할 계획이다.

최병열 경기도농업기술원 친환경미생물연구소장은 이번 연구는 환경을 보호하면서 보다 효과적으로 방제하기 위한 것이라며 감자 농가의 피해를 줄이고 지속가능한 농업을 실현하기 위한 연구를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도 농기원은 2020년부터 경기도친환경농업인연합회와 협력해 학교급식 수요가 높고 농업인들이 기르는 데 어려움을 겪는 작목을 중심으로 연구 중이다.

 

댓글목록

한국노동교육신문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중부대로 1144,102/2103 | 제보광고문의 031-335-1289 | E-mail: jhseo0625@hanmail.net
인터넷신문 등록일 2013.07 .15 | 등록번호 경기 아50716호 | 발행인 오예자 | 편집인: 김완규 | 청소년보호책임자 오예자
Copyright© 2004~2025 한국노동교육신문 All right reserved | Designed by BLESS 031)954-8601

기사제보
----------
취재요청
----------
광고
제휴문의
----------
청소년
보호상담자
지정 및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