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자를 지켜라’ 도 농기원, 친환경 감자 병해충 방제기술 연구개발 추진 ○ 친환경 감자 주요 재배단지에서 병원균 수집 - 감염된 씨감자 사용, 복숭아혹진딧물 등 곤충 매개에 의한 바이러스가 주 원인 ○ 씨감자 소독제, 유기농업자재 선발 등 종합방제 연구 추진 서정혜 2024-09-08 08:22 가 본문내용 확대/축소 본문 경기도농업기술원이 친환경 감자 주요 재배단지에서 수집한 총 5종의 병원균에 대해 방제기술 연구를 추진한다고 8일 밝혔다. (사진자료1)감자+바이러스병 친환경 감자는 학교급식 농산물 출하량 1위를 차지할 만큼 중요한 작목이다. 그러나 최근 이상기후 탓에 시들음병, 역병 등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 같은 병원균은 전파속도가 빠르고 수확량을 떨어트린다. (사진자료2)감자+더뎅이병 도 농기원은 문제 해결을 위해 지난 3월부터 6월까지 약 3개월간 양주와 양평 등 재배단지에서 봄감자 병원균을 수집했다.확인된 균은 크게 5종으로 ▲바이러스병 ▲역병 ▲반쪽시들음병 ▲시들음병 ▲더뎅이병 등이다. 이 가운데 감자 바이러스병이 30% 이상을 차지하며 가장 높은 발병률을 보였다. 바이러스병에 걸린 감자는 칼로 도려낸 듯 갈라지는 열개 현상이 나타난다. (사진자료3)+감자밭 감자 바이러스의 주요 원인은 감염된 씨감자 사용이나 복숭아혹진딧물 같은 곤충 매개체다. 이에 도 농기원은 씨감자 파종 전 병해충을 막아줄 소독제를 개발하고 정향추출물, 유황 등 유기농업자재를 선발하고 농가 현장에 적용할 계획이다.최병열 경기도농업기술원 친환경미생물연구소장은 “이번 연구는 환경을 보호하면서 보다 효과적으로 방제하기 위한 것”이라며 “감자 농가의 피해를 줄이고 지속가능한 농업을 실현하기 위한 연구를 이어가겠다”고 말했다.한편 도 농기원은 2020년부터 경기도친환경농업인연합회와 협력해 학교급식 수요가 높고 농업인들이 기르는 데 어려움을 겪는 작목을 중심으로 연구 중이다. 서정혜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목록 댓글목록 이전글 경기도, 고양시 주민 초청. K-컬처밸리 복합개발 진행상황, 계획 등 설명 24.09.08 다음글 배달특급으로 미리 추석 즐겨볼까요! 24.09.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