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첨단산업벨트 조성·규제해소 등으로 경기북부대개발 추진
○ 산업구조를 혁신하고 첨단전략산업 유치를 위해 산업 기반시설(인프라)을 확충
○ 국가안보를 위해 묵묵히 감내해 오고 있는 경기북부의 규제 해소
오예자 2024-09-18 07:25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밴드 주소복사

본문

경기도 북부에 첨단산업벨트들이 잇따라 착공·준공되고, ‘수도권 역차별해소를 위한 접경지역발전협의체를 구성하는 등 대한민국 신성장동력을 가동하기 위한 경기북부 대개발 사업들이 본격 추진된다.

 

5fb7d16f15e39187558fa28940a10a4f_1726611838_6346.JPG
[참고사진]+9월+11일+경기북부+대개조+프로젝트+추진+기자회견(2)

 

앞서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지난 11경기북부 대개조 프로젝트 선제적 추진기자회견을 열고 투자를 늘리고 규제는 줄이겠다고 밝혔다.

김 지사는 구체적 방안으로 산업구조를 혁신하고 첨단전략산업 유치를 위해 산업 기반시설(인프라)을 속도감 있게 확충 국가안보를 위해 묵묵히 감내해 오고 있는 경기북부의 규제 해소 등을 제시했다. 분야별로 살펴봤다.

 

5fb7d16f15e39187558fa28940a10a4f_1726611900_6279.jpg
그래픽

 

2026년 고양일산·양주테크노밸리 준공 예정. 고양 킨텍스 제3전시장은 올해 말 착공

첨단 전략산업 육성을 위한 첨단산업벨트들도 착공 또는 준공된다. 2026년 준공될 사업은 고양일산테크노밸리, 양주테크노밸리다. 올해 연말 고양 킨텍스 제3전시장이 착공하며, 내년에는 남양주 왕숙 도시첨단산단, 연천 BIX 산업화지원센터가 착공을 앞두고 있다.

고양일산테크노밸리와 양주테크노밸리는 민선 6기부터 추진된 사업으로, 민선 8기 결실을 보게 됐다. 고양일산테크노밸리는 고양시 일산서구 대화동, 법곳동 일원 872(26만 평) 규모 부지에 사업비 8500억 원을 투입해 조성한다. 바이오메디컬, 미디어콘텐츠, 첨단제조 분야 혁신기업 유치를 위한 국가첨단전략산업의 기반으로 일자리창출효과 18천 명, 신규투자효과 16천억 원이 기대된다.

경기양주테크노밸리는 경기도와 양주시, 경기주택도시공사가 공동으로 양주시 마전동에 218100(66천 평) 규모 부지에 사업비 1104억 원을 투입해 조성한다. 2017년 북부 2차 테크노밸리 입지 선정 이후 마찬가지로 약 10년이 걸렸다. 섬유 등 지역특화산업과 IT기술을 융합할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모빌리티 등 첨단산업을 유치할 계획이다.

고양 킨텍스 제3전시장은 기존 제1·2전시장에 이어 전시면적 790, 연면적 319730규모의 전시장을 추가로 건립하는 사업이다. 총사업비는 4891억 원으로 준공 시 경제적 파급효과가 연간 66천억 원에 달한다. 도는 제3전시장이 건립되면 세계적인 대형 전시회를 적극 유치해 경기북부가 고부가가치 산업의 중심지로 도약할 전망이다.

남양주 왕숙 도시첨단산단은 왕숙역 GTX역세권 주변에 판교테크노밸리의 약 2배인 120규모의 도시첨단산업단지를 조성하는 사업이다. 동북부지역의 미래 먹거리를 위한 전략산업을 유치할 방침이다.

연천 BIX(Business Industry Complex) 산업화지원센터는 연천BIX(은통일반산업단지) 7586부지에 300억 원을 투입해 전문인력 양성, 특화작물 재배 등 산단 입주 기업을 지원해 경기북부를 그린바이오산업 허브로 견인한다.

이 밖에도 고양JDS 지구(일산동구 장항동, 일산서구 대화동·송포동 17.66)를 바이오·케이(K)-컬처·스마트모빌리티 등 혁신 클러스터로 육성한다.

경기북부 규제해소

경기도는 국가안보를 위해 묵묵히 감내해 오고 있는 경기북부의 규제를 국회, 도의회, 시군과 협력해 풀어낸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도는 먼저 정부가 추진 중인 기회발전특구와 평화경제특구 지정을 적극 신청할 예정이다.

기회발전특구는 현재 도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연구용역을 진행 중이다. 대상 지역은 고양, 파주, 김포, 양주, 포천, 동두천, 가평, 연천 등 8개 시군으로 경기도지사가 산업통상자원부로 신청해 지방시대위원회 심의의결을 받아 지정된다. 기회발전특구 지정 시 기업에 대한 세제규제정주여건 등의 지원이 이뤄진다.

평화경제특구는 시도지사 요청에 따라 통일부, 국토교통부 장관이 공동으로 지정한다. 대상 지역은 고양, 파주, 김포, 양주, 포천, 동두천, 연천 등 7개 시군이다. 도는 평화경제특구를 남북 평화경제 교류·협력 중심지로 조성할 계획으로 도내 100만 평 조성 시 생산유발효과 64천억 원, 취업유발효과 54천 명 등이 기대된다.

가평군을 접경지역법에서 규정하는

댓글목록

한국노동교육신문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중부대로 1144,102/2103 | 제보광고문의 031-335-1289 | E-mail: jhseo0625@hanmail.net
인터넷신문 등록일 2013.07 .15 | 등록번호 경기 아50716호 | 발행인 오예자 | 편집인: 김완규 | 청소년보호책임자 오예자
Copyright© 2004~2025 한국노동교육신문 All right reserved | Designed by BLESS 031)954-8601

기사제보
----------
취재요청
----------
광고
제휴문의
----------
청소년
보호상담자
지정 및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