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수요응답형 복지택시 765개 마을로 확대 운영
○ 경기도, 수요응답형 복지택시 765개 마을로 확대 운영
- 복지택시 예산 112억 원 투입…교통 사각지대 해소 박차
- 교통 취약지역 주민 위한 맞춤형 이동서비스로 삶의 질 향상
서정혜 2025-04-09 07:12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밴드 주소복사

본문

경기도가 대중교통이 부족한 농촌이나 외곽지역 주민들이 보다 편리하고 저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수요응답형 복지택시 운영 마을을 올해까지 총 765개로 확대한다.

수요응답형 복지택시란 대중교통 여건이 열악한 읍면동(마을)을 운영 마을로 선정해 해당 지역에서 복지택시를 이용하면 이용자들은 시군별로 책정된 버스 요금 수준(1,000~2,000)만 부담하면 되는 사업이다.

 

4580b1ea47456d886d2baf72053557b6_1744150296_1935.jpg
경기도청+전경(1)(27)

 

경기도에는 현재 경기복지택시(도비 지원)’, ‘공공형택시(국토부 지원)’, ‘농촌형택시(농식품부 지원)’ 등 세 가지 형태의 수요응답형 복지택시가 있는데 이용자 자부담 외 나머지 비용은 국비, 도비, 시군비로 구성된 보조금으로 충당한다.

올해 경기복지택시에는 도비 311,600만 원, 공공형택시에는 국비와 시비 714,200만 원, 농촌형택시에도 국비와 시비 96,800만 원 등 총 1123천만 원을 투입된다.

 

4580b1ea47456d886d2baf72053557b6_1744150330_6316.jpg
경기도청+전경(2)(27)

 

수요응답형 복지택시 사업 참가마을은 2020372개에서 2024761개로 두배 이상 증가했으며, 2024년 기준 한해 복지택시 이용자 수는 80만 명을 넘어 2020년 대비 2배 정도 늘어났다.

수요응답형 복지택시는 운행 지역과 시간, 이용 요금 등을 지역 여건에 맞춰 유연하게 조정할 수 있다. 특히 고령자와 교통약자들이 병원 진료, 장보기, 관공서 방문 등 필수적인 이동을 보다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점이 가장 큰 장점으로 꼽힌다. 택시업계 입장에서도 승객이 줄어드는 낮 시간대의 수요를 보완해 영업 활성화에 도움이 될 전망이다.

김성환 경기도 택시교통과장은 수요응답형 복지택시 운영 확대를 통해 도내 교통 소외지역 주민의 편리한 이동권을 보장하겠다앞으로도 주민 의견을 적극 반영해 서비스 품질을 높이고 실질적인 교통복지 실현에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한편 도는 교통복지 확대를 위해 복지택시 운영 마을 확대에 따른 예산 확보 지역 맞춤형 운영체계 개편 이용 실태 및 만족도 조사 등을 추진 중이다. 특히 현장 데이터를 기반으로 노선과 운영 방식을 개선하고, 주민 의견을 반영한 맞춤형 서비스를 확대해 교통 사각지대 해소와 이동권 보장에 힘써 나가겠다는 계획이다.

4580b1ea47456d886d2baf72053557b6_1744150267_7789.png
 

댓글목록

한국노동교육신문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중부대로 1144,102/2103 | 제보광고문의 031-335-1289 | E-mail: jhseo0625@hanmail.net
인터넷신문 등록일 2013.07 .15 | 등록번호 경기 아50716호 | 발행인 오예자 | 편집인: 김완규 | 청소년보호책임자 오예자
Copyright© 2004~2025 한국노동교육신문 All right reserved | Designed by BLESS 031)954-8601

기사제보
----------
취재요청
----------
광고
제휴문의
----------
청소년
보호상담자
지정 및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