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한 전통주와 함께하는 올 추석. 경기도 추천 5종
○ 쌀 맥주, 인삼 막걸리, 잡곡 증류주 등 명절 추천 전통주 5종
○ 경기도농업기술원 개발, 도 양조업체 기술 이전으로 24개 제품 상품화경기 농산물 소비와 지역 양조장 활성화 앞장서
김완규 2025-10-03 07:44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밴드 주소복사

본문

추석을 앞두고 가족과 함께 나눌 특별한 술을 찾는다면 경기도농업기술원이 추천하는 전통주 다섯 종에 주목할 만하다.

d8f4d3e771657b4831e63c9f0d648da9_1759444788_6309.jpg
1.+상락향

경기도농업기술원은 2009년부터 현재까지 12건의 특허를 등록하고 28개 업체에 기술을 이전해 24종의 제품이 상품화됐다. 일부는 ‘대한민국 우리술 품평회’, ‘경기주류대상’ 등 국내 주류대회에서 수상하며 품질을 인정받았다.

d8f4d3e771657b4831e63c9f0d648da9_1759444821_2044.jpg
2.+3막걸리

이번에 소개하는 다섯 가지 제품은 경기 농산물을 활용해 소비자 기호에 맞춘 대표 성과물이다.

① 상락향(남양주 바네하임브루어리)

d8f4d3e771657b4831e63c9f0d648da9_1759444875_3276.jpg
3.+파주개성인삼막걸리

경기미와 통밀, 귀리 등 경기 농산물 90% 이상을 활용해 맥주 제조 방법으로 만든 전통주로, 잡곡 특유의 이취를 줄이고 오렌지·라임 향을 더해 산뜻한 풍미를 살렸다. 쌀 함유량이 높아 드라이하면서도 가볍게 즐길 수 있으며, 강한 탄산감으로 기름진 명절 음식과도 잘 어울린다.

d8f4d3e771657b4831e63c9f0d648da9_1759444906_808.jpg
4.+담+다이아몬드

② 3막걸리(포천 미미소)

인삼 특유의 흙냄새를 줄이고, 사포닌 추출이 잘 되게 하는 특허 기술을 적용해 만든 인삼 막걸리다. 도수 6%의 가볍고 부드러운 맛으로 젊은 층도 부담 없이 즐길 수 있다.

③ 파주개성 인삼막걸리(파주 운정양조장)

인삼의 쓴맛을 줄이는 특허와 고온 증자 기술을 사한 무감미료 막걸리다. 도수는 9%이며, 일반 막걸리보다 묵직하면서도 목 넘김이 부드러워 편하게 즐길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④ 담 다이아몬드(성남 내올담)

경기미와 잡곡으로 만든 누룩을 사용해 다양한 곡물 향과 꽃 향, 완숙 과실 향이 어우러지는 증류주다. 증류주 숙성 기술은 소주를 만든 후 공기와의 접촉을 증가시켜 향과 맛을 끌어올리면서 숙성 기간을 단축하는 것이다. 도수는 40%이며, 올해 ‘경기주류대상’ 증류주 부문 대상을 수상하며 품질을 인정받았다.

d8f4d3e771657b4831e63c9f0d648da9_1759444951_5521.jpg
5.+소여강42

⑤ 소여강42(여주 추연당)

증류식 소주의 숙성 기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한 도수 42% 증류주다. 일반적으로 1년 이상 걸리는 숙성기간을 2~3개월로 줄였음에도 깔끔한 향과 부드러운 목 넘김을 구현했다. 2024년 경기주류대상에서 금상을 받은 제품으로, 진한 맛을 선호하는 애주가들에게 추천된다.

추천 전통주 5종은 ▲바네하임브루어리(vaneheimbeer.com) 공식 온라인몰 또는 양조장별 네이버스마트스토어(martstore.naver.com) ▲미미소(/mimiso) ▲운정양조장(/uj_brewery) ▲내올담(/naeoldarm) ▲추연당(/chuyondang) 등에서 구매할 수 있다.

성제훈 경기도농업기술원장은 “경기 농산물로 빚은 전통주는 젊은 세대의 취향을 반영해 품질과 다양성을 동시에 갖췄다”면서 “경기 농산물 소비와 지역 양조장 활성화를 위해 앞으로도 연구와 지원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d8f4d3e771657b4831e63c9f0d648da9_1759444762_7439.png
 

댓글목록

한국노동교육신문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중부대로 1144,102/2103 | 제보광고문의 031-335-1289 | E-mail: jhseo0625@hanmail.net
인터넷신문 등록일 2013.07 .15 | 등록번호 경기 아50716호 | 발행인 오예자 | 편집인: 김완규 | 청소년보호책임자 오예자
Copyright© 2004~2025 한국노동교육신문 All right reserved | Designed by BLESS 031)954-8601

기사제보
----------
취재요청
----------
광고
제휴문의
----------
청소년
보호상담자
지정 및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