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 일본 벼 품종 대체할 국내 육성 벼 공급 1,227t까지 늘리기로
○ 도 종자관리소, ‘2021년도 하계작물 종자 생산·공급 협의회’ 개최
- 추청 등 일본계 벼 품종 287t 줄이고, ‘참드림’ 등 도 육성 벼 품종 생산 295t 늘리기로
- 올해 국내 육성 벼 품종 공급량 지난해보다 232t 늘어난 1,227t까지 확대 예상
김완규 2021-02-08 08:39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밴드 주소복사

본문

경기도 종자관리소가 5‘2021년도 하계작물 종자 생산공급 협의회를 열고 일본계 벼 품종을 대신할 국내 육성 벼 품종 생산을 대폭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1a4332b7511524234017315127572dd2_1612741079_1256.jpg
종자생산공급협의회1

종자 생산·공급 협의회는 도내 식량작물의 안정적인 공급을 유도하기 위한 자리로 농가 대표, 전문가, 농협, 도 관계기관 담당자 등 10여 명이 참여해 식량작물의 연간 품종별 생산량, 생산 면적, 공급 계획 등을 협의·결정한다.

1a4332b7511524234017315127572dd2_1612741106_6333.jpg
종자생산공급협의회2

이 날 회의에서는 종자관리소에서 생산하는 일본계 벼 품종 공급량을 작년 1,625t(고시히카리 395, 추청 1,230)에서 올해 1,338t(고시히카리 338, 추청 1,000)으로 287t 감축하고, 경기도 육성 벼 품종 생산량을 635t(참드림 549, 맛드림 86)으로 확대하기로 결정했다. 작년 340t(참드림 300, 맛드림 40)에 비해 295t이 증가했다.

1a4332b7511524234017315127572dd2_1612741133_6415.JPG
종자생산공급협의회3

이와 함께 국내 개발 품종인 해들’, ‘알찬미에 대한 원원종(原原種원종(原種) 생산·공급 등 지역특화 품종 공급 확대를 위한 시·군별 재배 의향과 확대 방안을 협의하고, 관련기관과 농업인 의견을 청취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 자리에서 제시된 도 생산·공급계획을 종합하면 올해 국내 육성 벼 품종 공급량은 지난해 995t에서 1,227t까지 늘어날 전망이다. 도내 국산 벼 품종 비율은 38%에서 47.8%까지 증가한다.

협의회에 참석한 오운환 RPC장장협의회 회장은 지역에서 원하는 종자 생산이 협의회를 통해 결정돼 농가 소득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앞으로도 농가 소득을 늘릴 수 있는 국내 육성품종에 대한 공급을 확대해 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도는 콩에 대해서도 최근 평균 공급량 등을 감안해 국내 육성 품종인 대원콩(126t), 연풍콩(2.4t), 강풍콩(2.7t) 등을 추가 생산하고, 최근 농가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서리태 청자5호도 생산을 추가하겠다고 밝혔다.

 

 

 

 

 

 

 

댓글목록

한국노동교육신문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중부대로 1144,102/2103 | 제보광고문의 031-335-1289 | E-mail: jhseo0625@hanmail.net
인터넷신문 등록일 2013.07 .15 | 등록번호 경기 아50716호 | 발행인 오예자 | 편집인: 김완규 | 청소년보호책임자 오예자
Copyright© 2004~2025 한국노동교육신문 All right reserved | Designed by BLESS 031)954-8601

기사제보
----------
취재요청
----------
광고
제휴문의
----------
청소년
보호상담자
지정 및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