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 농기원, 도내 유기농 재배 적합 찰벼 품종에 ‘보람찰’ 선정 ○ 경기도친환경농업인연합회와 찰벼 품종 선발시험 2년간 진행 - 경기북부와 중산간지 등 도 전역 재배에 적합한 ‘보람찰’ 품종 선발 김완규 2021-02-24 06:27 가 본문내용 확대/축소 본문 경기도농업기술원이 도내에서 안정적으로 재배 가능한 학교 급식용 유기농 찰벼 품종으로 ‘보람찰’을 선정했다. 보람찰+종자사진그 동안 도 친환경 학교 급식용 찰벼 품종은 대부분 ‘백옥찰’이었다. ‘백옥찰’은 충청 이남지역의 기후조건에 맞게 만들어진 품종이기 때문에 경기 북부와 중산간지(中山間地)에서 재배할 경우 청치(덜 여물어 푸른 빛깔을 띤 쌀알)가 많이 나고 수확량이 적어 도 전역 재배에 부적합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도 농기원은 경기도친환경농업인연합회와 함께 2019년부터 지난해까지 백옥찰, 보람찰, 화선찰, 운일찰, 운백찰, 청백찰 등 6개 품종을 대상으로 ‘재배 적합한 찰벼 품종 선발시험’을 진행해 왔다.그 결과 모종 건강상태와 병해충·내도복성(쓰러짐을 이겨내는 성질)·발아율(파종 수 대비 발아한 종자 수 비율)이 전반적으로 우수한 ‘보람찰’ 품종을 최종 선발했다.농기원은 앞으로 ‘보람찰’ 유기종자 생산체계 구축을 통한 도내 보급·확대에 힘쓸 예정이다. 현재는 경기도친환경농업인연합회 회원을 중심으로 농가 자체 생산 후 자율 교환만 이뤄지고 있어 도내 전역 보급에 한계가 있다.이영순 경기도 농업기술원 환경농업연구과장은 “이번에 선발된 ‘보람찰’ 생산 보급·확대를 통해 도내 친환경 공공급식 기반 강화와 농가소득 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김완규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목록 댓글목록 이전글 경기도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2021 경기관광 활성화 민관 연석회의 진행 21.02.24 다음글 확진자와 동선 겹칠까 불안하다면 ‘코로나 동선 안심이’앱을 이용해보세요- 도, 서울대와 협력해 제공. 23일 안드로이드 정식 출시 21.0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