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산단 입주기업 97% 중소기업, 인력·교통 개선 시급해” 도, 전수 실태조사 발표
○ 경기도 산업단지 실태조사 연구용역 최종보고회 개최
- 경기도, 전국 최초로 일반산업단지 내 사업체 전수조사 실시
○ 전체 입주업체 중 중소기업 97.1% 차지, 가장 시급한 정책은 인력, 교통 등
- 분석결과 도정에 적극 반영, 구체적이고 실행가능한 특성화 전략 추진
오예자 2021-10-11 07:31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밴드 주소복사

본문

경기도내 산업단지 입주기업의 대다수가 중소기업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많은 기업들이 인력확보와 교통 여건 개선 등에 대한 정책적 지원을 가장 시급하게 여기는 것으로 조사됐다.

 

073922bab26ab8aca554c8a820542c07_1633905091_0858.jpg

 

경기도는 지난 8일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바이오센터 1층 대회의실에서 산업단지 특성화 전략 및 정책방향 수립을 위한 경기도 산업단지 실태조사 연구용역 최종보고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을 발표했다.

이번 산업단지 실태조사는 경기도가 한국기업데이터에 의뢰해 63일부터 98일까지 경기도 일반산업단지 및 도시첨단산업단지 내 13,000여 개 업체를 대상으로 조사원 방문 면접조사 방식으로 진행됐다.

실태조사의 주요 결과를 살펴보면, 우선 현재 경기도 일반산업단지 및 도시첨단산업단지의 기업 가동율은 68.2%로 조사됐다. 13,628개 입주업체 중 9,054개사가 현재 가동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산단 입주기업 사업체 규모는 자산총액 5,000억 원 미만 규모의 중소기업 절대 다수인 97.1%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중소기업이 우리 경제와 일자리에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음을 방증하는 셈이다.

이에 반해 자산총액 5,000억 원 이상 중견기업과 자산총액 10조원 이상인 대기업은 각각 2.3%, 0.5%에 불과했다.

산업단지 내 전체 고용인원은 185,290명으로, 이중 내국인 생산직 노동자가 61.3%로 가장 많았다. 이어 외국인 생산직 노동자가 5.6%, 연구개발직은 8.8%, 기타 관리직 24.3%의 수치를 보였다.

이 밖에 산단 내 사업장 소유형태는 자가가 63.7%로 과반을 차지했고, 임차 형태도 36.3%나 됐다.

이번 실태조사에서는 전체 조사대상 기업 중 1,000여 개 사를 표본으로 선정, 정책수요조사도 함께 실시했다.

그 결과, 가장 시급하게 개선이 필요한 분야는 인력확보교통 및 주차여건등이었다. 또한 산업단지를 총괄적으로 관리하는 전담 컨트롤 타워 함께, 노동자 삶의 질 향상 센터 설치, 인력양성 센터 확충, 장비유지보수센터 설립 등의 필요성도 함께 제기됐다.

도는 이번 실태조사 결과를 면밀히 검토, 이를 바탕으로 오는 11월부터 산업단지 종합정보 시스템구축 CEO협의체 구성 및 공동 협업사업 지원 등의 사업을 경기과학경제진흥원과 함께 추진할 계획이다.

이날 보고회에는 송은실 경기도 산업정책과장, 전병선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과학이사, 이은숙 한국기업데이터() R&C센터 팀장 등이 참여, 용역 결과에 대한 보고를 받고 향후 정책 방향에 대해 논의하는 시간을 가졌다.

송은실 산업정책과장은 국가산단이 아닌, 일반산단을 대상으로 전수조사를 실시한 것은 경기도가 전국 처음인 만큼, 큰 의미가 있다정책수요 분석결과를 도정에 적극 반영해 더욱 구체적이고 실행가능한 경기도만의 산업단지 특성화 전략을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댓글목록

한국노동교육신문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중부대로 1144,102/2103 | 제보광고문의 031-335-1289 | E-mail: jhseo0625@hanmail.net
인터넷신문 등록일 2013.07 .15 | 등록번호 경기 아50716호 | 발행인 오예자 | 편집인: 김완규 | 청소년보호책임자 오예자
Copyright© 2004~2025 한국노동교육신문 All right reserved | Designed by BLESS 031)954-8601

기사제보
----------
취재요청
----------
광고
제휴문의
----------
청소년
보호상담자
지정 및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