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가구 27.6%는 1인 가구, 증가 속도 수도권에서 가장 빨라… 경기연구원, “세대별 특성 반영한 정책 강화 필요”
○ 경기연구원, ‘경기도 1인 가구 특성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발간
○ 2020년 경기도 1인 가구 140만… 1990년 13만 가구에서 10배 이상 증가
○ 여자와 노인 위한 보안 시스템 확충, 청년층 주거 문제 해결, 노인층 기본생활 보장 정책 필요
서정혜 2021-12-08 06:44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밴드 주소복사

본문

경기도 가구의 27.6%를 차지하면서 증가 속도가 수도권에서 가장 빠른 1인 가구에 대해 청년층부터 노년층까지 세대별 특성을 반영한 정책을 강화해야 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ebe40db786018ed65fcb3930dd403940_1638913426_9198.jpg
1인가구+변화+및+증가율

 

경기연구원은 지난해 9월부터 11월까지 경기도 16,000가구를 대상으로 한 ‘2020 경기도민 삶의 질 조사를 토대로 1인 가구 현황을 재분석한 경기도 1인 가구 특성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보고서를 발간했다고 8일 밝혔다.

 

ebe40db786018ed65fcb3930dd403940_1638913458_0012.jpg
1인가구+변화

 

경기도 1인 가구는 199013만 가구(전체 8.1%)에서 2020140만 가구(전체 27.6%)로 전체 가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3배 이상 증가했다. 1인 가구 비율은 전국(31.7%)과 수도권( 34.9%, 인천 28.3%)에 비해 낮은 수준이지만 2015~2020년 기간 1인 가구 증가율은 37.0%로 전국(27.7%), 수도권(인천 33.1%, 서울 24.6%)에 비해 증가 속도가 가장 빠르다.

경기도 1인 가구 남자 중에서는 34세 이하 청년층이 31.1%, 여자 중에서는 65세 이상 노년층이 32.0%로 가장 비중이 높았다. 최근 5년 동안 1인 가구 증가율이 가장 높은 연령대는 남자 60~6497.3%, 여자 85세 이상 83.3%.

연구원은 경기도 1인 가구의 사회경제적 특성을 분석했는데, 청년층을 제외하고 중년층, 장년층, 노년층 모두 다인 가구보다 학력이 낮았다. 행복도 조사(지난 1주일 행복했는지)에서 1인 가구는 61.2%, 다인 가구는 71.0%, 지난 1주일 우울했는지 묻는 말에 1인 가구는 27.6%, 다인 가구는 21.9%로 집계되는 등 1인 가구의 정신건강 취약함이 드러났다. 이에 따른 극단적인 생각 경험자도 1인 가구 모든 연령대가 다인 가구보다 많은 가운데 노년층은 10.1%로 가장 높게 나왔다.

1인 가구 전반적인 생활 만족도도 65.0%로 다인 가구 74.5%보다 낮았다. 영역별 만족도에서 1인 가구 청년층은 가계와 주거영역, 노년층은 교육과 고용 영역에서 각각 낮게 나타났다. 다만 노년층은 사회 참여 활동이 늘어날수록 생활 만족도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어 연구원은 노년층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사회적 관계망 형성이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연구원은 이번 조사 결과 시사점으로 1인 가구에서 비율이 높은 여자와 노인 등을 위한 거주지 환경 개선과 보안 시스템 확충 주거 문제를 겪는 청년층을 위한 주거비 보조 같은 대책 필요 경제적 능력이 부족하고 교육 수준이 낮은 노인층의 경제적 기반 마련 가장 불편함을 느끼는 응급상황 대처를 위한 병원 동행 및 간병인 제공 서비스 확대 등을 제시했다.

유정균 경기연구원 연구위원은 필요할 때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사회적 연결망은 만족도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다양한 프로그램을 마련해야 한다1인 가구 삶의 질 향상을 위해 경제적 기반 마련을 위한 기본적 지원과 편의성 증진의 이원화 전략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댓글목록

한국노동교육신문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중부대로 1144,102/2103 | 제보광고문의 031-335-1289 | E-mail: jhseo0625@hanmail.net
인터넷신문 등록일 2013.07 .15 | 등록번호 경기 아50716호 | 발행인 오예자 | 편집인: 김완규 | 청소년보호책임자 오예자
Copyright© 2004~2025 한국노동교육신문 All right reserved | Designed by BLESS 031)954-8601

기사제보
----------
취재요청
----------
광고
제휴문의
----------
청소년
보호상담자
지정 및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