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 올해 탄소중립·생산성 향상 방점 찍은 ‘스마트 행복 축산’ 전략 추진
○ 도, 2022년 축산시책 추진계획 수립‥‘도민과 함께하는 스마트 행복 축산’ 구현
○ 생산, 복지, 상생 3대 추진전략 실행 올해 총 3,000억 예산편성
- 생산성 향상, 스마트 축산 확대, 탄소중립 실현, 산업 동물 복지 체계 강화 등
서정혜 2022-02-14 06:07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밴드 주소복사

본문

경기도가 탄소중립 실현, 생산성 향상 등 도민과 함께하는 스마트 행복 축산구현을 위해 ‘2022년 축산시책 추진계획을 수립, 3,000억 원의 예산을 투자할 예정이라고 14일 밝혔다.

ca9a85fca316403725c7070814c90fbb_1644786438_6346.jpg 

이는 최근 식량안보 차원에서 축산분야 자급률 향상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고, FTA에 따른 축산분야 관세 전면 폐지,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체계 개편 불가피 등 대내외적 환경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함이다.

이에 도는 축산업 기반 안정 및 신성장 동력 개발(생산), 가축도 행복할 수 있는 선진국형 복지 축산(복지), 깨끗하고 안심되는 도민 친화형 축산(상생) 3가지 추진전략을 수립해 시행해 나갈 계획이다.

이를 위해 올해 3,000억 원 규모의 예산을 편성, ‘생산성 향상 및 스마트 축산 정착’, ‘친환경 축산 조성’, ‘안전한 사료자원 관리’, ‘신성장 축산 육성’, ‘안전 축산업 체계 구축등의 분야에 주력하게 된다.

첫째, 생산성 향상과 스마트 축산 정착을 위해 축산 ICT 융복합 확산, 축종별(낙농, 양돈, 가금 등) 경쟁력 강화 등 13개 사업에 920억 원의 예산을 투자할 계획이다. 특히 올해부터 지역별 실정과 농가 수요에 발 빠르게 대처하도록 축종별 경쟁력 강화사업 내에 시군 자율예산을 별도 편성했다.

둘째, 2050 탄소중립 추진전략에 발맞춰 지난해 3월부터 도입 추진 중인 경기도형 경축순환(耕畜循環) 농업 활성화 전략등 도민 정서에 부응하는 지속할 수 있는 친환경 축산환경 조성에도 힘쓴다.

구체적으로 농가 선호도가 높은 밀폐형 축분처리시설, 다용도 축분처리장비 지원 등 13개 사업에 450억 원을 투입하고, ‘가축행복 농장지원사업을 지속 시행해 쾌적한 사육환경 조성과 산업 동물 복지향상에 주력한다.

셋째, 조사료 생산·자급 기반 조성과 안전한 사료 생산·관리 차원에서 조사료 생산지원, 유휴지 풀사료 생산, 부존자원 사료화, 사료 제조시설 품질·안전 관리 등 8개 사업에 120억 원의 예산을 편성했다.

넷째, ·양봉산업 등 신성장 동력 육성과 가축개량을 통한 생산성 향상을 위해 승용마 생산·유통 지원, 한우·젖소 유전체 분석, 신품종 젖소 육성 등 15개 사업에 100억 원을 투입, 미래 축산환경에 선제적으로 대응한다.

다섯째, 폭염·폭설 등 각종 재해에 대비해 가축재해보험 가입 지원, 축산재해 긴급 지원 등 6개 사업에 240억 원을 투입, 안전한 축산업 체계 구축에 힘쓸 계획이다.

김영수 축산정책과장은 축산업은 농식품 생산액 상위 10대 품목의 절반을 차지할 정도로 부가가치가 높고, 식량안보 차원에서도 매우 중요한 국가 사업이라며 이에 경기도는 변화하는 환경에 부응하는 미래 축산업 전략과 핵심사업을 지속 발굴해 중점 추진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댓글목록

한국노동교육신문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중부대로 1144,102/2103 | 제보광고문의 031-335-1289 | E-mail: jhseo0625@hanmail.net
인터넷신문 등록일 2013.07 .15 | 등록번호 경기 아50716호 | 발행인 오예자 | 편집인: 김완규 | 청소년보호책임자 오예자
Copyright© 2004~2025 한국노동교육신문 All right reserved | Designed by BLESS 031)954-8601

기사제보
----------
취재요청
----------
광고
제휴문의
----------
청소년
보호상담자
지정 및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