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도내 전역에 돼지유행성설사병(PED) 발생주의보 발령
○ 경기도, 돼지유행성설사병(PED) 지속 발생에 따라 22일 발생주의보 발령
- 지난해 돼지유행성설사병 6건 발생, 올해 1~4월 사이 12건 발생
○ 돼지유행성설사병 추가확산 방지를 위해 양돈농장 기본 방역수칙 준수 철저
- 농장 내·외부 및 출입차량 소독, 백신접종, 농장 출입자 통제 등 철저한 차단방역 실시
서정혜 2022-04-23 07:43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밴드 주소복사

본문

경기도는 422일부로 도내 전역에 돼지유행성설사병(PED, Porcine Epidemic Diarrhea)’ 발생주의보를 발령, 축산 농가의 각별한 주의를 요구한다고 당부했다.

 

cce064eaf6755c8acc35499c8fbbf425_1650667397_9221.jpg

 

이는 최근 경기도, 전북, 제주도를 포함한 전국 곳곳의 양돈농가에서 돼지유행성설사병이 잇따라 발생하고, 일교차가 큰 5월 초까지 유행이 지속될 것으로 예측된 데 따른 조치다.

실제로 도내에서는 지난 201828, 20191, 20201건으로 감소추세를 보이다가 20216, 올해 1~4월 사이 12건으로 발생빈도가 증가하고 있다.

돼지유행성설사병은 제3종 가축전염병으로, 주로 구토나 탈수, 식욕결핍, 수양성 설사 등의 임상증상을 보이며, 생후 1주 미만 자돈의 경우 폐사율이 50~100%에 달할 정도다.

모돈 역시 자돈 폐사에 의한 갑작스러운 포유 중단으로 불규칙한 발정, 산자수 감소 등 번식성적을 감소시켜 양돈농장에 큰 경제적 피해를 일으키는 소모성질환이기도 하다.

특히 환절기의 경우, 아침, 저녁으로는 기온 차이가 10이상 발생해 돼지의 면역력을 저하하는 등 돼지유행성설사병 확산이 우려되는 시기이다.

이에 도는 돼지유행성설사병 발생 확산을 차단하기 위해 돼지유행성설사병 예방접종예산 7억 원을 각 시군에 교부하여 도내 양돈농가의 예방접종을 독려하고 있다.

또한 매주 수요일 일제 소독의 날을 시행하며 양돈농가와 축산관계시설에 대한 소독을 매일 실시하도록 하는 등 돼지유행성설사병 바이러스의 농장 내 유입 연결고리를 차단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아울러 구입농장 돼지질병 이력관리, 신규 입식돼지 격리 관찰, 백신접종, 농장 출입차량 및 방문자 소독, 농장 내·외부 소독 등 농장 기본 방역 수칙을 준수토록 양돈농가 및 유관기관에 적극 홍보할 계획이다.

김종훈 경기도 동물방역위생과장은 철저한 차단방역만이 돼지유행성설사병 피해를 막는 최선의 방법이다일교차가 큰 5월초까지 유행이 예측됨에 따라 돼지유행성설사병 백신접종과 더불어 농장 내 출입차량과 방문자 및 농장 내·외부 소독을 철저히 실시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댓글목록

한국노동교육신문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중부대로 1144,102/2103 | 제보광고문의 031-335-1289 | E-mail: jhseo0625@hanmail.net
인터넷신문 등록일 2013.07 .15 | 등록번호 경기 아50716호 | 발행인 오예자 | 편집인: 김완규 | 청소년보호책임자 오예자
Copyright© 2004~2025 한국노동교육신문 All right reserved | Designed by BLESS 031)954-8601

기사제보
----------
취재요청
----------
광고
제휴문의
----------
청소년
보호상담자
지정 및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