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가족이 즐기는 수도권 최대 게임쇼 ‘2022 플레이엑스포(PlayX4)’ 개막
○ 수도권 최대 규모 융복합게임쇼 2022플레이엑스포 12일 개막
- 15일까지 게임의 현재와 미래를 한 번에 만날 수 있는 축제의 장
- 3년 만에 현장에서 개최. 아케이드, 콘솔게임, 인디/스타트업, 보드게임 등 참여 가능
- 경기 이스포츠 페스티벌, 비마니 마스터 코리아 결승 등 볼거리도 풍성
○ 수출상담회에 역대 최대 규모인 146개 게임개발사와 172개 바이어사 참여 예정
서정혜 2022-05-12 21:34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밴드 주소복사

본문

게임의 현재와 미래를 한 번에 만날 수 있는 수도권 최대 규모 융복합 게임쇼 ‘2022 플레이엑스포(PlayX4)’12일 개막, 4일간의 대장정에 돌입했다.

 

be91e9db2b8420dfa2b6925c4614cb21_1652358816_1259.jpg
경기도청+광교+신청사+전경

 

경기도는 12일 고양시에 위치한 킨텍스 제2전시장에서 오병권 경기도지사 권한대행을 비롯해 이용우 국회의원, 최훈 한국인디게임협회장, 임윤태 대한장애인이스포츠연맹회장 등 1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2022 플레이엑스포 개막식을 열었다.

15일까지 개최되는 플레이엑스포는 2008년 처음 열린 수도권 최대 규모의 게임쇼로 코로나192020년과 2021년 온라인 개최 후 3년 만에 현장에서 관람객을 맞게 됐다.

오병권 경기도지사 권한대행은 이날 축사를 통해 플레이엑스포가 3년 만에 현장에서 관람객과 호흡을 할 수 있게 돼 기쁘다라며 경기도는 국내 게임매출의 약 45%68천억 원을 차지하는 대한민국 게임산업의 메카로 이(e)스포츠 전용경기장 건설, 각종 이(e)스포츠 대회 개최 등 게임산업의 지속적 성장을 위해 계속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2022 플레이엑스포는 온가족이 즐기는 게임쇼라는 콘셉트로 3년 만에 열리는 현장 행사임을 감안해 남녀노소 누구나 즐기며 직접 참여할 수 있는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이를 위해 도는 누구나 참여 가능한 게임 관련 퀴즈대회와 게임 오리지널 사운드 트랙(OST) 공연, 일반인이 참여하는 코스튬 대회와 퍼레이드 등을 마련했다. , 2년마다 열리며 리듬 게임으로 유명한 비마니 마스터 코리아(BEMANI MASTER KOREA) 최종 결승전이 역대 가장 큰 규모로 플레이엑스포 현장에서 개최된다.

반다이남코 엔터테인먼트 코리아 등 세계적 콘솔게임사의 아케이드게임, 게임 새싹기업이 개발한 이색 기술도 체험할 수 있으며 경기 이(e)스포츠 페스티벌이 플레이엑스포 B2C 전시장에 마련된 특설무대에서 진행돼 관람객들의 흥미를 자극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산업적 측면에서는 국내 게임 중소 개발사의 해외 진출 확대가 기대된다. 플레이엑스포 기간 함께 진행되는 수출상담회에는 역대 최대 규모인 146개 게임 개발사와 172개 바이어사가 참여할 예정이다.

일본에서는 유명 게임제작사 닌텐도(Nintendo), 세가(SEGA)를 비롯 코나미(KONAMI)가 참가 신청을 했다. 미국에서는 마이크로소프트의 엑스박스(Microsoft Xbox), 전세계 인디게임계가 열광하는 퍼블리셔 니칼리스(Nicalis), 샌프란시스코 대표 게임사 스카이스톤 게임즈(Skystone games), 게임업계의 최대 신흥 시장인 두바이의 IMS(International Marketing Services LLC), 중국의 빅바이어 바이트댄스(Byte Dance), 아이치이(iQiyi), 비리비리(bilibili), 추콩(Chukong Technologies) 등이 눈길을 끈다.

플레이엑스포 입장권은 현장에서 구매할 수 있으며 참여기업 관련문의는 플레이 엑스포 운영사무국 수출상담회(02-6941-2989/전시회 031-995-8162)로 하면 된다.

 

댓글목록

한국노동교육신문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중부대로 1144,102/2103 | 제보광고문의 031-335-1289 | E-mail: jhseo0625@hanmail.net
인터넷신문 등록일 2013.07 .15 | 등록번호 경기 아50716호 | 발행인 오예자 | 편집인: 김완규 | 청소년보호책임자 오예자
Copyright© 2004~2025 한국노동교육신문 All right reserved | Designed by BLESS 031)954-8601

기사제보
----------
취재요청
----------
광고
제휴문의
----------
청소년
보호상담자
지정 및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