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일상 회복에도 경기도민 심리 건강은 악화. 10명 중 4명 우울군
○ 도, 9월 도민 1천명 코로나19 인식 조사
- 우울군 비율 41.9%. 2020년 7월 29.2% 이후 점점 하락하다가 대폭 상승
○ 거리두기 해제된 상황에도 재유행 극복 가능하다는 긍정의견이 반대의견 크게 앞질러
○ 코로나19 재유행 속 감염될 두려움 51%. 감염으로 인한 낙인 두려움은 28.8% 2020년 조사 이래 최저 수준
○ 부정적 생애사건 경험률 증가, 그중 경제적 위기 경험률 여전히 높아
서정혜 2022-09-28 07:12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밴드 주소복사

본문

코로나19 완화로 일상이 회복 국면을 맞이했지만 경기도민 10명 중 4명은 우울군으로 집계되는 등 심리 건강이 취약해졌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032caaee7ba71ce71cad761a480295ca_1664316605_6086.JPG
코로나19+감염가능성 (1)

 

경기도와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유명순 교수 연구팀은 지난 9월 초 경기도 성인 남녀 1천 명을 대상으로 코로나19에 대한 경기도민 인식변화 조사한 결과 자가우울척도 기준 10점 이상(우울군)의 비율이 41.9%로 관련 조사 중 가장 높게 나왔다고 28일 밝혔다.

 

032caaee7ba71ce71cad761a480295ca_1664316640_3406.JPG
일상회복+수준(점) (1)

 

앞선 조사에서는 2020729.2% 이후 1028.2%, 2022125.1% 하락추세였다. 전문적 도움이 필요한 심한 울분상태도 16.7%, 역시 2022113.1%보다 높아졌다.

이 같은 도민 심리 건강 상태는 코로나19 일상 회복 인식도가 높아진 가운데 나타나 주목된다. 도민의 일상 회복 수준을 100점 만점으로 봤을 때 이번 점수는 62.7점이었으며, 20205월 동일 문항을 적용한 조사 이후 가장 높았다. 이전까지는 2020553.9, 751.8, 1048.2, 2022147.2점 등 코로나19 장기화로 낮아졌었다.

 

032caaee7ba71ce71cad761a480295ca_1664316676_222.jpg
우울군+척도 (1)

 

일상 회복 점수는 소득이 낮을수록 더 낮았는데, 월평균 가구소득 100만 원 미만은 55.7, 100~200만 원 미만은 56점으로 평균을 크게 밑돌았다.

거리두기가 해제된 상황에도 코로나19 재유행을 극복할 수 있다고 믿는응답자는 46.1%로 그렇지 않은 응답자(20.4%)에 비해 2.3배 많았다. 또한 우리 사회에서 코로나19가 통제와 관리 가능한 위험이 될 것이라고 믿는응답자(43.6%) 역시 그렇지 않은 응답자(21.8%)에 비해 2배 많았다.

 

032caaee7ba71ce71cad761a480295ca_1664316713_0211.JPG
낙인+두려움 (1)

 

내가 확진(또는 재확진)될까 두렵다라는 질문에 51.0%가 동의했는데, 이는 올해 1월 조사 54.2%보다 소폭 낮아진 것이다. 반면 내가 확진 환자가 될 경우 주변으로부터 비난이나 피해를 받을까 두렵다라는 낙인 두려움 문항에 동의하는 응답자는 28.8%, 올해 1월 조사 55.1%보다 대폭 감소하며 조사 이래 최저치를 기록했다.

아울러 앞으로 5년 이내 코로나19 같은 또 다른 감염병이 나타날까 두렵다라는 문항에는 63.8%가 동의했다.

경기도의 재유행 대응 중 미흡한 점을 물었을 때는 자발적인 사회적 거리두기 실천 제고 방안’(23.5%), ‘증상 의심 시 신속히 진단검사 받기, 접촉 피하기 실천 강화 방안’(16.8%)이 주로 나왔다.

코로나19 자율적 예방 강화를 위한 보건당국의 추가적 노력을 물었을 때는 일상에 적용 가능한 맞춤 감염예방 수칙과 권고안 제시’(29.2%), ‘자발적 감염예방 활동을 촉진할 정책적 방안 마련과 실제 지원’(24.4%)을 주로 지목했다.

도민의 방역 수칙 준수 의식을 보면 실내 마스크 착용은 88.7%, 코로나19 의심 증상이 있으면 집에서 쉬기는 86.8%가 지킨다고 했다. 81.0%내가 원하는 경우 예방행동(마스크 쓰기, 손 위생 등)을 잘 실천할 수 있다고 응답하며 자율적인 예방행동에 자신감을 표현했다.

코로나19 의료 대응 인지도에 관한 문항에서 코로나19 재택 치료 중 야간이나 휴일에 이상 증상 또는 응급상황에 대처하는 방법을 모른다고 응답한 사람이 36.4%로 가장 높았다. 재택 격리가 불가능한 경우 도움을 받는 방법이나 대면 진료받는 방법을 모른다라고 응답한 사람도 각각 33.7%, 25.4%로 나왔다.

나는 우리나라가 당면한 중요한 코로나19 사안을 꽤 잘 이해하고 있다고 느낀다’(올해 139.4%에서 928.1%로 감소), ‘나는 코로나19 현안을 보면 핵심이 무엇인지 금세 판단할 수 있다’(올해 137.5%에서 928.9%로 감소)

댓글목록

한국노동교육신문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중부대로 1144,102/2103 | 제보광고문의 031-335-1289 | E-mail: jhseo0625@hanmail.net
인터넷신문 등록일 2013.07 .15 | 등록번호 경기 아50716호 | 발행인 오예자 | 편집인: 김완규 | 청소년보호책임자 오예자
Copyright© 2004~2025 한국노동교육신문 All right reserved | Designed by BLESS 031)954-8601

기사제보
----------
취재요청
----------
광고
제휴문의
----------
청소년
보호상담자
지정 및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