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림동 용인시처인장애인복지관에 AR·VR 체험공간‘스페이스’열었다
- 이상일 용인특례시장 개소식 참여…“장애인들 활동 제약 없이, 건강·여가 누리시길”-
- VR 스포츠 체험존·AR 액션 플로어 활동실 등 4가지 기능 갖춘 100㎡공간 조성 -
서정혜 2022-11-10 18:29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밴드 주소복사

본문

용인특례시(시장 이상일)는 10일 처인구 고림동 용인시처인장애인복지관에 장애인들이 스포츠와 직업 훈련을 받을 수 있는 AR·VR 체험 공간 ‘스페이스’를 개소했다.

 

이날 개소식에는 이상일 용인특례시장, 정형석 밀알복지재단 상임대표, 이영준 LG화학 CRS팀 책임, 정준용 임팩트비지니스 재단, 김기호 (사)한국지체장애인협회 경기도협회장, 이선덕 용인시처인장애인복지관장 등 50여명이 참석했다.

 

이 시장은 “오늘 개소한 ‘스페이스’에서 지역 장애인들이 활동의 제약을 받지 않고 스마트하게 건강과 여가를 모두 챙길 수 있길 기대한다”며 “공간을 업그레이드 해 좀 더 다양한 프로그램을 이용할 수 있도록 앞으로 시에서도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처인장애인복지관 1층에 개소한 ‘스페이스’는 LG화학의 기부 플랫폼 ‘알지’ 공모 사업에 선정돼 수행기관인 밀알복지재단으로부터 후원금 5000만원을 지원받고 시에서 보조금 7500만원을 지원, 총 1억2500만원을 투입해 조성했다.

 

이 공간은 ‘VR 스포츠 체험존’, ‘AR 액션 플로어 활동실’, ‘VR 직종 체험실’, 휠리엑스’ 등 4가지 기능을 갖춘 100㎡ 규모로 조성됐다.

 

VR 스포츠 체험존에선 휠체어에 앉아 야구, 농구, 골프 등의 각종 스포츠를 경험해 볼 수 있다. 천정에 달린 센서와 벽면에 부착된 카메라가 사용자의 움직임이나 운동패턴 등을 분석해 화면으로 피드백을 해준다.

 

AR 액션 플로어 활동실에선 실제로 몸을 움직이며 게임과 접목된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다. 바닥에 나타나는 화면을 따라 움직이며 신체와 인지 능력을 동시에 발달시킬 수 있도록 돕는 것이 특징이다.

 

VR 직종 체험실에선 장애인 직업훈련생들이 실제로 커피를 주문받아 음료를 제조하는 전 과정을 실습할 수 있다. 반복 학습을 통해 음료 제조가 능숙해지면 복지관 내 카페에서 실제로 음료를 만들 수 있게 된다.

f8074a20e65c1a53b79989efae98b0cf_1668072408_4312.jpg
10일 고림동 용인시처인장애인복지관 AR.VR 체험공간 '스페이스' 개소식 참석자들이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휠리엑스존은 휠체어에 앉아 요가, 스피닝, 에어로빅 등의 유산소 운동을 할 수 있도록 돕고 신체를 단련시키는 데 도움을 준다.

f8074a20e65c1a53b79989efae98b0cf_1668072424_0421.jpg
이상일 용인특레시장이 10일 처인장애인복지관 AR.VR 체험공간 '스페이스' 개소식에 참석해 인사말을 하고 있다. 

 

이날 이 시장은 관계자들과 스페이스를 둘러보고 실제로 프로그램을 체험하기도 하며 장애인들이 프로그램을 어떻게 활용하며 도움을 받을 수 있는지 세심히 살폈다. 처인장애인복지관에서 티머니 ‘교통약자 이동권 확대 프로젝트’로 지원 받은 보조공학 이동장치 ‘로봇 휄체어’를 직접 시연하기도 했다.

f8074a20e65c1a53b79989efae98b0cf_1668072447_6399.jpg
 이상일 용인특례시장이 로봇 휠체어를 시연하고 있다. 

f8074a20e65c1a53b79989efae98b0cf_1668072447_7201.jpg
용인시처인장애인복지관 AR VR 체험공간 '스페이스' 개소식 

f8074a20e65c1a53b79989efae98b0cf_1668072447_8125.jpg
 이상일 용인특례시장이 스페이스 내 VR 스포츠 체험존에서 직접 야구를 체험해 보고 있다 

 

복지관 이용 장애인 하경희씨는 “TV속에서나 봐왔던 이런 꿈 같은 공간을 처인구에도 만들어 주셔서 감사하다” 며 한자 ‘福’자를 형상화 한 민화를 직접 그려 이 시장에게 선물했다.

 

이 시장은 “이곳을 조성하기 위해 도움을 주신 많은 분을 대표해 제가 이렇게 귀한 선물을 받게 돼 영광”이라며 “평생 두고 귀하게 간직하겠다”고 화답했다.

 

시 관계자는 “스페이스가 지역 장애인들이 즐겁고 활기차게 생활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장애인들의 필요와 편의를 고려해 다양한 복지를 실현하는 정책을 발굴하기 위해 힘쓰겠다”고 말했다.

 

 

댓글목록

한국노동교육신문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중부대로 1144,102/2103 | 제보광고문의 031-335-1289 | E-mail: jhseo0625@hanmail.net
인터넷신문 등록일 2013.07 .15 | 등록번호 경기 아50716호 | 발행인 오예자 | 편집인: 김완규 | 청소년보호책임자 오예자
Copyright© 2004~2025 한국노동교육신문 All right reserved | Designed by BLESS 031)954-8601

기사제보
----------
취재요청
----------
광고
제휴문의
----------
청소년
보호상담자
지정 및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