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4~10월 가뭄종합대책 기간 운영. 농업용수 등 대책 마련 ○ 2023 가뭄종합대책에 반영, 2023. 4월부터 10월까지 상시 감시·공동 대응 체계 운영 - 농업용수 부족 지역에 영농한해 특별대책, 지표수 보강개발 추진 - 급수 취약지역 지방상수도 보급사업, 농어촌 생활용수 개발사업 등도 추진 서정혜 2023-04-03 07:33 가 본문내용 확대/축소 본문 경기도가 4월부터 10월까지를 가뭄종합대책 기간으로 운영해 농업‧생활용수 부족 등 가뭄 상황을 대비한다.가뭄종합대책 주요 내용을 보면 우선 가뭄 위기 경보별 대응 기준에 따라 대책 기간 중 31개 시·군과 연계해 상시 감시체계를 운영한다.양수장+시트파일+설치대응 기준은 ▲최근 6개월 누적 강수량이 평년의 약 65% 이하일 경우는 관심 단계 - 상시 감시 ▲55% 이하로 영농기 등 물 수요가 많은 시기에 용수 부족이 예상될 경우는 주의 단계 - 협조체계 가동 ▲45% 이하는 경계 단계 - 대비계획 점검 ▲45% 이하가 20일 이상 지속돼 가뭄이 발생하거나 대규모 피해가 우려될 경우는 심각 단계 - 재난안전대책본부 가동, 즉각 대응 등 4단계다.농업용수 대책으로는 영농기의 안정적인 용수공급을 위해 강수량‧저수율을 상시 관리하고 가뭄 발생 시 경기도, 시‧군, 농어촌공사 협력체제를 구축한다. 아울러 농업용수 부족 지역에 영농기 전까지 양수장과 취입보(하천의 수위가 낮을 때 수위를 높여 물을 쉽게 퍼 올릴 수 있도록 하천을 가로질러 설치한 보) 등을 신설하거나 보강하기 위해 영농한해 특별대책(14개 시·군 35지구, 49억 9천200만 원)과 지표수 보강개발(2개 시·군 2지구, 16억 7천400 만 원)을 적극적으로 추진한다.생활용수 대책으로 도와 한강청, 수자원공사, 시·군 간 수도사고 협력 대응과 지원체계를 구축한다. 지하수 등에 의존하는 용인시 등 8개 시‧군 도서 산간 지역 등 급수 취약 지역에는 도비 32억 원을 지원해 지방상수도 보급사업을 한다. 광주시 등 6개 시‧군에는 도비 165억 원 지원해 127.7㎞ 길이의 관로를 설치하는 농어촌 생활용수 개발사업 등을 추진한다.한영조 경기도 자연재난과장은 “현재 저수지나 댐 저수율 등 지표는 양호하지만, 기후변화로 인한 월별 강수 편차가 심해 세심한 가뭄 사전 대비가 필요하다”라면서 “현장에서 작동할 수 있는 가뭄 예방대책을 선제적으로 추진해 도민들의 영농 준비와 생활에 불편이 없도록 하겠다”라고 말했다.한편 도가 자체 분석한 올해 1~3월 도내 강수량은 46.3mm로, 평년 강수량67.1mm 대비 20.8mm 적게 왔다. 도는 4~5월 강수량도 평년과 비슷하거나 적을 것으로 전망했다. 서정혜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목록 댓글목록 이전글 “변색되거나 알아보기 힘든 도로명판 신고해주세요” 경기도, 주소정보시설 안전신문고 운영 23.04.03 다음글 용인특례시, 반려견 6783마리 4월 광견병 예방주사 맞으세요 23.04.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