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긴급복지 핫라인 운영 1년. 3천180여 명에게 도움의 손길
○ 도, 지난해 8월 25일 긴급복지 핫라인 개설이후 1년 동안 복지상담 3,182명 신청
- 1년간 2,412명 지원 완료. 나머지 770명은 상담 진행으로 사후관리 지속 추진
※ 처리현황: 3,182명(완료 2,412<공적 608, 민간 230, 기지원 등 1,574>, 처리 중 770) * 중복포함 3,783명
서정혜 2023-08-24 08:20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밴드 주소복사

본문

경기도가 긴급복지 핫라인1년간 운영한 결과, 3182명의 전화·문자를 접수해 이 중 2412명에 대한 지원을 완료했다.

 

0e3ca79f5cebd35c5f1abb6be0997be7_1692832737_7314.png
‘긴급복지+핫라인’+홈페이지

 

긴급복지 핫라인(010-4419-7722)과 긴급복지 위기상담 콜센터(031-120)로 구성된 긴급복지 핫라인은 복지 사각지대에서 세상을 떠난 수원 세 모녀사건에 대한 종합 대책이다. 김동연 경기도지사의 지시로 지난해 825일 신설돼 생활고로 어려움을 겪는 누구나, 또는 이웃이라도 연락할 경우 지원제도 안내는 물론 제도의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0e3ca79f5cebd35c5f1abb6be0997be7_1692832800_3513.jpg
긴급복지+핫라인+격려+방문(1)

 

823일 기준으로 접수된 3182명을 분야별(중복 응답)로 보면 생계지원223명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의료 661채무 396주거 287일자리 93기타(교육 등) 748명 등의 순이다.

전체 약 14%438명이 친구와 친·인척 등 지역사회 제보로 접수된 만큼 주변인들의 도움이 복지 사각지대 발굴에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친인척이 200(46%), 지인·이웃 등 주변인이 238(54%)이다.

 

0e3ca79f5cebd35c5f1abb6be0997be7_1692832835_4364.jpg
긴급복지+핫라인+격려+방문(2)

 

실제로 어머니 사망 이후 홀로 남아 법적·경제적 지원이 필요한 지적장애, 지낼 곳 없이 거리에서 겨우 끼니를 해결하는 노숙인, 암 투병으로 생활고를 겪는 2인 가구 등이 제보를 통해 도움을 받았다.

도는 제보 활성화를 위해 지난 6월에 긴급복지 핫라인 제보자 54명에게 감사 서한문을 발송했다. 공적이 있는 제보자에 대해 올해 43, 711명에 이어 1216(공무원 10명 포함)에게 표창장을 수여할 예정이다.

7월부터는 상시상담이 가능한 경기복G(카카오톡)’긴급복지 핫라인 누리집(홈페이지)’ 운영으로 상담 채널을 다양화하기도 했다.

경기도는 복지 사각지대 발굴 효과를 높이기 위해 사회복지시설이나 관련 기관 차량 374대에 긴급복지 핫라인홍보 문구를 랩핑하는 한편 공인중개사무소, 철도 역사, ·미용실, 편의점, 병의원 등 11만여 곳에 홍보전단지를 배포하는 등 위기 도민 발굴에 주력하고 있다.

지난 5월부터는 내실 있는 긴급복지 핫라인운영을 위해 접수된 위기 도민 가운데 생계지원뿐 아니라 일자리 지원, 정신 상담 등을 요구했지만 단순 물품 지원 등의 민간 지원으로 종결된 가구나 기존에 지원받았다는 등의 사유로 사례관리가 종결된 가구에 대한 위기도를 재조사하고 있다.

이를 통해 실명 위기에 있는 A씨를 병원에 연계해 수술 등 치료를 진행했으, 장애와 질병으로 신체활동이 어려운 B씨는 차상위 장애인 신청과 식품 지원 등 29명이 사후관리를 받게 됐다.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지난 22일 긴급복지 핫라인 개설 1년을 맞아 담당 부서를 찾아 지원현황을 살펴보고 직원들을 격려했다.

김 지사는 누군가 나의 말에 귀 기울이고 생각해 주는 사람이 있다는 것만으로도 큰 위로가 될 수 있으니 절박한 마음으로 전화하신 분 입장에서 고민하고 공감해 달라“‘수원 세모녀 사건과 같은 가슴 아픈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앞으로도 도움이 필요한 도민에게 든든한 복지 울타리를 함께 만들어가자라고 말했다.

댓글목록

한국노동교육신문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중부대로 1144,102/2103 | 제보광고문의 031-335-1289 | E-mail: jhseo0625@hanmail.net
인터넷신문 등록일 2013.07 .15 | 등록번호 경기 아50716호 | 발행인 오예자 | 편집인: 김완규 | 청소년보호책임자 오예자
Copyright© 2004~2025 한국노동교육신문 All right reserved | Designed by BLESS 031)954-8601

기사제보
----------
취재요청
----------
광고
제휴문의
----------
청소년
보호상담자
지정 및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