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올해 양봉산업 발전과 산업여건 개선 위해 3개 사업에 57억 원 투입 ○ 경기도 양봉산업 발전과 산업여건 개선을 위한 3개 사업에 57억 원 투입 - 양봉산업의 대폭 성장, 최근 질병・기후변화로 꿀벌의 많은 피해 발생 - ①양봉산업 육성(경쟁력, 현대화) ②우수 여왕벌 보급 ③말벌퇴치장비 지원 ○ 도에 막대한 피해를 준 ‘월동꿀벌 폐사・실종’에 신속 대응을 위한 정책 준비 서정혜 2024-02-13 07:56 가 본문내용 확대/축소 본문 경기도가 양봉산업의 발전과 산업여건 개선을 위해 ‘양봉산업 육성사업’을 비롯한 3개 사업에 57억 원을 투입한다. 사진자료+1(1) 경기도 내 양봉사업 규모는 2010년 1,749 농가 12만 3,613봉군에서 2020년 2,788 농가 25만 3,043봉군으로 대폭 늘어났다가 2022년 이후 질병, 기후변화 등으로 많은 피해를 입고 있는 상황으로 대책이 필요한 상황이다. 사진자료+2(1) 도는 올해 ‘양봉산업 경쟁력 강화와 현대화’ 사업에 55억 6천만 원, 꿀과 화분 수집 능력이 ‘우수한 신품종 벌을 지원’에 1억 3천만 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꿀벌에 큰 피해를 주는 ‘말벌 퇴치 장비 지원’에도 1천만 원을 투입한다. 이 밖에도 6,300마리의 여왕벌을 시군별 거점 농가에서 사전 증식해 월동(越冬.겨우살이) 꿀벌 피해 농가 발생 시 신속하게 공급할 계획이다. 경기도는 최근 2년간 원인을 알 수 없는 월동 꿀벌의 폐사・실종으로 8만 8천봉군의 피해를 입었다. 최근 다른 시도에서 꿀벌들의 월동피해가 발생하고 있어 이 같은 여왕벌 공급 사업이 피해 대처에 도움이 되는지 양봉농가들의 주목을 받고 있다. 사진자료+3 이강영 경기도 축산정책과장은 “양봉은 축산업의 중요한 한축을 담당하고 있으며, 생태계 유지 및 보전에 없어선 안 되는 산업”이라며, “양봉산업의 발전과 현안 해결을 위해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서정혜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목록 댓글목록 이전글 경기도의회, ‘전국 최초’ 시·군의회 입법지원 컨설팅 사업 시행 24.02.13 다음글 서농동 통장협의회, 심폐소생술 교육 24.0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