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해빙기 대비 11개 재해복구사업장 대상 현장합동점검 ○ 6~8일 해빙기 대비 재해복구사업장 안전관리실태 점검, 조기추진 위한 합동점검 - 중소규모 사업은 우기전 완료, 대규모 사업은 취약구간 재피해 방지를 위한 추진실태 중점 검검 ○ ‘합동점검반’ 구성 이후 첫 점검으로 단순 추진사항 관리 차원의 점검에서 탈피, 애로사항 해소 및 컨설팅 통해 재해복구사업 완료 시기 단축 기대 서정혜 2024-03-06 07:38 가 본문내용 확대/축소 본문 봄철 해빙기를 맞아 경기도가 재해복구사업장 안전관리실태 점검과 조기 추진을 위한 합동점검을 한다. 경기도청+전경(1)(10) 지난달 26일부터 도내 34개 재해복구 사업장에서 시군 자체 점검이 진행되고 있으며, 도 현장 합동점검 기간은 6일부터 8일까지 3일간 진행된다. 점검 대상은 사업 규모가 크거나 사업추진에 애로사항이 있는 양평군 등 5개 시군 11개 재해복구사업장이다. 도는 11개 현장 합동점검 대상 사업장 외 다른 사업장은 시군 자체 점검과 도 서면 점검을 실시하고, 사업지연 등의 이상 상황 발생시 추가 합동점검을 할 예정이다.해빙기 대비 주요 점검 사항으로는 ▲붕괴, 유실, 전도, 낙석 등 위험시설 안전조치 여부 ▲응급 복구(톤마대, 방수포 등) 시설관리 실태 및 노후·훼손 시설 보완 여부 ▲인명피해 예방을 위한 안전시설(추락 방지, 통행 차단 등) 설치 여부 ▲강우 등 비상상황에 대비한 피해지역 내 안전관리 대책 수립 여부 등이다.도는 중소규모 재해복구사업 현장은 우기 전 공사 완료를 원칙으로 하고, 대규모 사업으로 우기 전 준공이 물리적으로 불가한 사업장은 재해 취약 구간에 집중적인 장비․인력 투입으로 해당 공정을 마무리한다는 계획이다.이번 합동점검은 작년 12월 도 재난부서와 도로, 하천, 농업기반시설 관리부서가 참여하는 ‘재해복구사업 합동점검반’ 구성 후 첫 점검으로 시설물 관리업무와의 연계성도 확보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번 합동점검반은 단순하게 공정률 파악 등 추진사항 관리 및 지적 위주의 점검에서 벗어나 사업을 직접 시행하는 시군의 애로사항을 적극적으로 청취하고, 재해복구사업 조기 준공 방안에 대해서도 적극 조언할 계획이다.아울러 점검 결과 긴급하거나 경미한 사항은 현장에서 즉시 조치할 예정이며, 보수․보강 등 후속 조치가 필요한 사항은 해당 시군에 통보해 수일 내로 조치를 완료하는 등 지속 관리할 계획이다.김능식 경기도 안전관리실장은 “이번 재해복구사업 합동점검을 통해 재해복구사업장의 해빙기 취약분야 안전실태를 점검할 것”이라며 “아울러, 여름철 우기대비 선제적인 공정관리로 피해재발을 방지, 도민 재해 피해를 미연에 방지하겠다”고 말했다.한편 올해 해빙기를 대비해 ▲고위험 또는 대규모 시설물 등 안전점검 ▲취약시설 안전점검 ▲급경사지 안전점검 등을 2월 19일부터 4월 3일까지 추진하고 있다. 서정혜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목록 댓글목록 이전글 경기도, 올해 7,216개 소규모 시설 실태조사. 3종시설물 지정 목적 24.03.06 다음글 오후석 부지사, 도봉산~옥정선 2공구 현장 찾아 해빙기 철도 공사장 안전점검 24.03.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