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서해안서 올해 첫 비브리오패혈증균 검출. 감염 주의 당부
○ 경기 서해 연안에서 비브리오패혈증균(Vibrio vulnificus) 첫 분리
○ 어패류 섭취 전 수돗물 세척 등 위생관리 주의 당부
○ 특히 간질환자 등 고위험군의 비브리오패혈증 감염 주의
서정혜 2024-05-22 07:17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밴드 주소복사

본문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이 지난 13일 경기 서해 연안에서 채수한 바닷물에서 비브리오패혈증균(Vibrio vulnificus)이 검출됐다며 주의를 당부했다. 경기도에서는 이번이 올해 첫 검출이다.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은 지난 3월부터 경기 서해 연안 비브리오패혈증균 감시 사업을 하고 있다.

최근 3년간 경기도 내 최초 비브리오패혈증균 검출 시기는 2022425, 2023424일이었다.

비브리오패혈증균은 겨울철에는 수온이 낮아져 바다 밑의 갯벌에서 월동하다, 봄철에 해수 온도가 15이상으로 올라가면 표층수에서 검출된다.

 

4636c8af7ead94dec97387ef68e8ac50_1716329805_4126.jpg
실험장면

 

비브리오패혈증은 오염된 어패류를 생식하거나 상처 난 피부가 오염된 바닷물에 접촉할 때 감염된다. 비브리오패혈증은 전국에서 최근 10년간 평균 52.6명의 환자가 발생했고, 경기도에서는 평균 9.3명의 환자가 발생했다.

감염 시 증상으로는 급성 발열, 오한, 혈압 저하, 복통, 구토, 설사 등의 상이 동반된 후 24시간 내 피부 병변이 발생한다. 피부 병변은 주로 다리에서 시작해 점차 범위가 확대되면서 괴사성 병변으로 진행된다.

비브리오패혈증은 1~3%의 식염 농도에서만 증식하는 호염성세균인 비브리오패혈증균이 원인이므로 흐르는 수돗물에 어패류를 잘 세척한 후 85이상으로 가열 처리해 섭취하면 예방할 수 있다. 특히, 간 질환자 등 고위험군은 감염됐을 경우 치명률이 높기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연구원 관계자는 비브리오패혈증은 해수의 온도가 상승하는 8~9월 환자가 급증하므로 여름철 위생관리 중요하다면서 경기 서해 연안 비브리오패혈증균 환경감시를 지속 운영해 감염 방지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댓글목록

한국노동교육신문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중부대로 1144,102/2103 | 제보광고문의 031-335-1289 | E-mail: jhseo0625@hanmail.net
인터넷신문 등록일 2013.07 .15 | 등록번호 경기 아50716호 | 발행인 오예자 | 편집인: 김완규 | 청소년보호책임자 오예자
Copyright© 2004~2025 한국노동교육신문 All right reserved | Designed by BLESS 031)954-8601

기사제보
----------
취재요청
----------
광고
제휴문의
----------
청소년
보호상담자
지정 및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