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너에 선 한국. 4차 산업혁명센터 통해 다른 나라 앞서 나갈 것” ○ 경기도, 세계경제포럼과 ‘경기도 4차산업혁명센터 설립’ 협약체결 - 지난 1월 다보스 포럼에서 4차산업혁명센터 양해각서(MOU) 체결에 이어 설립 공식화 - 협약을 통해 4차산업혁명센터 10월 개소 위한 준비절차 돌입 ○ 도, 4차산업혁명센터 설립으로 도내 스타트업·중소·중견기업 적극 지원 - AI 기반 ‘스타트업 육성’, ‘스마트 제조’, ‘기후변화 대응’을 중점 과제로 선정 서정혜 2024-07-01 07:23 가 본문내용 확대/축소 본문 경기도가 세계경제포럼(WEF.World Economic Forum)과 공식 협력협약을 맺고, 오는 10월 문을 열 예정인 4차산업혁명센터의 성공적 운영을 위해 협력하기로 했다.김동연 경기도지사는 지난 6월 28일 도담소(옛 도지사공관)에서 클라우스 슈밥 세계경제포럼(WEF) 회장과 이런 내용을 담은 ‘4차산업혁명센터 설립에 관한 협력협약서(CA.Collaboration Agreement)에 서명했다. ‘경기도 4차산업혁명센터 설립’ 협약체결_사진자료(1) 김동연 지사는 이날 세계 각국의 경쟁을 쇼트트랙 레이스에 비유하며 “쇼트트랙의 코너 구간은 모든 선수들이 어려움을 겪지만 이때가 선두를 추월할 기회이기도 하다”면서 “지난 1월 다보스포럼에서 한국이 쇼트트랙의 또 다른 코너에 서 있으며 이번 코너에서 삐끗하면 뒤처진다는 말을 듣고 깊은 인상을 받았다. 우리가 함께 만들어 나갈 4차산업혁명센터를 통해 앞서나갈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경기도 4차산업혁명센터 설립’ 협약체결_사진자료(5) 그러면서 “다른 4차산업혁명센터들과 달리 경기도 센터는 AI 기반 스타트업들을 지원하는 데 중점을 두는 것은 물론 기후 대응 노력도 선도적으로 하겠다”라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클라우스 슈밥 회장은 “산업사회에서 지식사회로 넘어가면서 기업들의 사업하는 방식, 시민들의 삶의 방식에 큰 변화를 불러일으키고 있다”면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형태의 플랫폼이 필요하고, 작은 규모의 기업들도 창의적인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다”고 4차산업혁명센터의 필요성에 대해 설명했다. 그러면서 “경기도의 4차 산업혁명센터는 스타트업에 집중하는 첫 번째 센터라는 점에서 특별한 의미가 있다. 다른 4차산업혁명센터들의 선구자 역할을할 것이고 새로운 스타트업 생태계를 조성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될 것이다”라고 덧붙였다. 클라우스 슈밥 회장은 이어 “경기도 4차산업혁명센터의 성공을 축하하러 다시경기도에 올 수 있었으면 좋겠다. 그리고 내년 초 다보스에서 지사님을 만날 수 있기를 바란다”며 2025년 다보스포럼에 초청했다. 협약체결에 따라 경기도는 이달부터 경기도 4차산업혁명센터 10월 개소를 위한 공식 준비절차에 들어가게 된다. 4차산업혁명센터(The Centre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C4IR)는 4차산업혁명 대응을 위해 세계경제포럼에서 각 국가 또는 지역과 협의해 설립하는 지역협력 거점 기구다. 2017년 미국 샌프란시스코에 최초 설립된 이후 미시간, 텍사스, 일본, 이스라엘, 사우디아라비아, 독일, 인도 등 전 세계 18개 센터가 운영 중에 있다. 경기도는 ’경기도 4차산업혁명센터‘의 중점 과제를 AI 기반 ‘스타트업 육성’, ‘스마트 제조’, ‘기후변화 대응’로 설정했으며 이는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전 세계 주요 인사와 교류하며 오랜 기간 고민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김동연 지사는 지난 1월 세계경제포럼(다보스포럼) 개최 현장에서 4차산업 서정혜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목록 댓글목록 이전글 이상일 용인특례시장, “용인중앙시장이 대한민국 최고의 전통시장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것” 24.07.01 다음글 염종현 의장, 30일 ‘2024 K네일 콘테스트’ 네일수원 개막행사 참석 24.0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