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기루로 끝난 ‘사회혁신복합단지’ 이영희 의원 “옛 도청사 방치로 수백억 예산만 낭비” 강력 비판 ○ 옛 도청사 10개 동 중 6개 여전히 공실…총괄 관리 부재 속 276억 원 감액 ○ 경기 120콜센터 등 열악한 근무환경에 방치…대책 마련 시급 김완규 2025-09-09 16:15 가 본문내용 확대/축소 본문 경기도의회 이영희 의원(국민의힘, 용인1)은 9일 제386회 임시회 제3차 본회의 도정질문에서 “김동연 지사가 직접 약속했던 ‘사회혁신복합단지’는 사실상 신기루로 끝났다”라며 “광교 신청사 이전 후 옛 도청사 부지는 도민 기대와 달리 방치와 공실, 예산 낭비의 현장으로 전락했다”라고 강하게 비판했다.250909 이영희 의원, 신기루로 끝난 사회혁신복합단지...옛 도청사 방치로 수백억 예산만 낭비 강력 비판이 의원은 “경기도는 옛 청사 부지를 청년·사회적기업·문화예술 단체가 어우러지는 혁신 거점으로 조성하겠다며 대대적으로 홍보했지만, 문화예술관·사회혁신관·스포츠건강동·몰입콘텐츠존 등 계획은 흔적도 없이 사라졌다”라며, “결국 추진 근거도, 전담 조직도 없는 전형적인 ‘페이퍼 플랜’에 불과했다”라고 지적했다.실제로 경기도청이 광교신청사로 이전한 지 3년이 넘었지만, 옛 청사 내 10개 건물 가운데 6개가 여전히 공실 상태다. 몇몇 건물은 리모델링 설계와 공사가 진행 중이나, 총괄 계획이 없어 사업은 계속 늦어지고 있다. 이 의원은 “공사가 지연될수록 예산만 허공에 흩어지고 있다”라며 우려를 표했다.2024~2025년 사이 감액된 공사 예산만도 276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의원은 “천억 원 가까운 예산이 사용됐지만 눈에 띄는 성과는 전무하다. 수백억 원이 줄줄이 이월·감액되는 동안 건물은 낡아가고, 주변 지역은 슬럼화되고 있다”며 “전형적인 혈세 낭비 사례”라고 꼬집었다.더욱 심각한 문제는 직원들의 근무환경이다. 현재 옛 청사에는 약 620명의 직원이 근무하지만 구내식당과 휴게시설 등 기본 복지 인프라가 턱없이 부족하다. 특히 도민 민원을 하루 수천 건 처리하는 경기 120콜센터는 환기조차 불가능한 협소한 공간에 수십 명이 밀집해 근무하는 실정이다. 휴게실은 성별 분리도 되지 않았으며, 직원 식사 공간조차 부족하다.이 의원은 “이미 2022년 민원실동 전체를 콜센터 용도로 활용하도록 설계했지만, 예산 부족과 타 부서 입주 문제로 계속 미뤄졌다”라며 “현재 콜센터 직원들은 찾아가기조차 어려운 구석 공간에 방치돼 있으나, 이전 계획 또한 ‘미정’으로 기록돼 있다”라고 강하게 비판했다.이 의원은 해결책으로 ▲즉각적인 근무환경 개선(환기·조명·방음·휴게시설 확충), ▲부서별 분산 관리 대신 총괄 PM 지정과 로드맵 수립, ▲직원 복지와 도민 편익을 반영한 장기적 마스터플랜 마련을 제안했다.끝으로 이 의원은 “옛 도청사 문제는 더 이상 미뤄서는 안 된다”며 “보여주기식 청사진이 아니라 실행 가능한 계획으로 도민들께 답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김완규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목록 댓글목록 이전글 이서영 도의원, “분당 재건축 정상화 위해 비행안전구역 고시·공공기여 재조정 시급” 25.09.09 다음글 이영희 의원, ‘군 협력 컨트롤타워 없는 경기도, 도민 안전 외면’ 질타 25.09.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