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원 동의 절차·대체 수단 없는 지문인식기 근태관리는 인권침해”
○ 도 인권센터, 도 공공기관의 지문인식기를 이용한 출·퇴근 관리에 의한 인권침해 사건 조사
○ 도 인권보호관 회의 결과, 지문인식기 외 대체 수단 마련 후 소속 직원의 동의 절차 이행 권고 및 의견표명 결정
서정혜 2022-02-15 06:29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밴드 주소복사

본문

공기관에서 소속 직원 근태 관리를 할 때 다른 대체 수단 없이 지문인식기로만 관리하도록 한 것은 사실상 직원들에게 지문등록을 강요한 행위로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침해한 것이라는 경기도 인권센터의 판단이 나왔다.

 

32e525171bd8d9342a7defffcb43ac36_1644874116_52.jpg

 

15일 경기도 인권센터에 따르면 경기도 A공공기관의 직원 B씨는 정보주체의 동의 없는 지문 정보 수집과 지문 미등록에 따른 연가 사용 강요외근무수당 미지급에 대한 구제를 원한다며 도 인권센터에 구제신청서를 제출했다.

도 인권센터 조사 결과, A공공기관은 소속 직원들의 근태관리와 시간외근수당 지급의 공정성을 목적으로 지난 2012년 지문인식기를 도입했으나, ‘개인정보보호법에서 규정한 내용을 알리거나 개별적 동의를 받은 적이 없고 기계 고장오류 및 지문 훼손 등을 고려한 대체 수단도 없었다.

에 출퇴근 지문 인식 기록이 하나라도 없으면 근로시간으로 인정하지 않으며 시간외근무수당도 지급하지 않았다. 더욱이 지문 미등록 건수가 3이상일 경우 해당 직원과 팀장의 근무 성적 평정도 감점 처리하고 있어, 지문을 찍지 못하면 근무를 하고도 어쩔 수 없이 연가를 사용하는 사례도 있었다.

경기도 인권보호관 회의에서는 동의 절차와 대체 수단 없이 지문 정보를 수집활용한 것은 대한민국헌법10조 및 제17조로부터 도출되는 개인정보자기결정권 침해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했다.

특히, 지문 미등록 시 근로시간을 불인정하고 해당 직원과 팀장의 근무 성적 평정도 감점 처리하고 있는 상황에서 현실적으로 직원들이 지문 정보 제공을 거부하는 것은 기대하기 어렵고, 이는 단순한 동의 절차위반이 아니라 사실상 지문 정보를 제공할 수밖에 없는 강요된 상황이며 정보주체의 개인정보에 대한 자율적 통제가 불가한 상황이라고 보았다.

도 인권센터는 A공공기관 대표에게 지문인식기를 이용한 근태관리 이외의 대체 수단을 마련할 것과, 직원들에게 개인정보보호법에서 규정한 내용을 알린 후 개별적 동의를 얻어 지문 인식 근태관리 시스템을 운영할 것을 권고했다.

다만, 지문인식기를 활용한 근태관리로 인해 파생되는 연가 사용과 시간외근무수당 미지급 건은 근로기준법위반 소지가 있으나 이는 고용노동부의 판단과 해석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밝혔다.

도 인권센터 관계자는 지문을 매개로 각종 개인정보를 연결해 개인의 사생활에 대한 광범위한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것이 가능해졌다는 점에서 지문 정보와 같은 생체정보의 수집·보관·이용 등은 더욱 엄격한 기준과 주의가 필요하다도 공공기관이 개인정보 처리 제도에 있어 선도적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적극 점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도 및 소속 행정기관, 도 출자출연기관, 도 사무위탁기관, 도의 지원을 받는 체 및 각종 사회복지시설에서 발생한 인권침해와 차별 사건은 누구든지 경기도 인권센터에 상담구제 신청할 수 있으며, 당사자가 아닌 제3 신청도 가능하다(전화: 031-8008-2340 / 031-120 + ARS2, 홈페이지: www.gg.go.kr/humanrights).

 

댓글목록

한국노동교육신문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중부대로 1144,102/2103 | 제보광고문의 031-335-1289 | E-mail: jhseo0625@hanmail.net
인터넷신문 등록일 2013.07 .15 | 등록번호 경기 아50716호 | 발행인 오예자 | 편집인: 김완규 | 청소년보호책임자 오예자
Copyright© 2004~2025 한국노동교육신문 All right reserved | Designed by BLESS 031)954-8601

기사제보
----------
취재요청
----------
광고
제휴문의
----------
청소년
보호상담자
지정 및 공개